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Research in the Era of Post-postmodernism: with a focus upon Qualitative Research founded upon Critical Realism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서덕희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347~39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재 교육 연구, 그 중에서도 질적 연구가 맞닥뜨린 문제의 근원을 근대성과 그 근대성에 대한 이분법적 비판에 강박된 탈근대성에 두고 이를 극복하는 대안적 방향을 비판적 실재론이라는 과학철학에 토대를 둔 질적 연구에서 찾는 것이다. ‘강한 사회구성주의’와 같은 극단적 탈근대주의적 연구는 인식론이 존재론을, ‘텍스트’가 ‘실재(reality)’를 대체한다. 그 결과 연구 결과의 소통이나 축적 등은 불가능하고 오직 해석의 차이와 다양성만을 강조하게 될 위험이 있다. 즉, ‘더 나은 이해’나 ‘더 나은 해명’을 위한 연구들 간의 소통과 합리적 판단을 위한 공통의 토대를 잃을 수 있다.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이 연구는 지금 교육 연구가 놓인 시대적 맥락을 ‘탈-탈근대’로 규정하고, 그 시대 정신에 적합한 질적 연구의 철학적 토대로 비판적 실재론을 소개하며, 그 존재론에 근거하여 질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질적 연구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30년 가까이 이루어진 연구자의 연구 경험과 성과에 근거하여 기본적 비판적 실재론뿐만 아니라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 그리고 메타실재의 철학에 이르기까지의 전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토대를 두고 질적 연구의 존재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이 연구를 국내 교육연구 분야에서 비판적 실재론을 소개한 선행연구와 차별화하며 동시에 질적 연구의 본질에 충실한 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의 동근성(同根性)을 잘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가 특히 교육 연구에 어떤 실천적 함의를 지니는지를 구체화함으로써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n alternative dir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scientific philosophy of critical realism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current dilemma which qualitative educational research should deal with. Some postmodern qualitative research trend is obsessed with dichotomous criticism of the modernity, in which epistemology replaces ontology and 'text' replaces 'reality'. The common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and rational judgment between studies for 'better understanding' or 'better explanation' may be lost. In this awareness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the context of the times in which educational research is now placed as 'post-postmodern', introduce critical realism as the philosophical basis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ontology.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build an ontology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from basic critical realism to dialectical critical realism and the philosophy of metaReality. By specifying what practical implic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for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I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목차

Ⅰ. 탈-탈근대적 질적 연구의 필요성
Ⅱ. 탈-탈근대적 질적 연구의 철학적 기초작업자(underlabourer)로서의 비판적 실재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덕희. (2025).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 (6), 347-390

MLA

서덕희. "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6(2025): 347-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