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ISE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전환: LiFE 사업에 대한 성찰과 정책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Transitioning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s toward RISE: Reflections on the LiFE Project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은아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417~464쪽, 전체 4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평생교육체제 구축의 정책적 분기점이 된 LiFE 사업을 다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RISE 체제 이행 이후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된 LiFE 사업의 결과를 둘러싸고 대학 평생교육 전문가와 현장 관계자의 경험적 인식을 중심으로, 사업 성과와 한계에 대한 이중적 평가 지형과 핵심 논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LiFE 사업 쟁점별 평가의 이중 지형도(성과 vs 한계)는 첫째, 제도화 및 체질 전환: ‘구조적 전환 vs. 내적 저항’의 대비 속에서, ① 제도적 진화와 구조 혁신의 확장, ② 조직문화 저항과 내적 경계의 고착 2개 범주에 따른 9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연화 실험 vs. 지속가능성의 한계’라는 대비적 관점에서 ① 학사경로 다변화와 유연 운영체계의 확장, ② 제도적 경직성과 지원 인프라의 제약 2개 범주에 따른 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지역기반 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vs. 파편화의 한계’라는 이중적 국면에서 ① 지역 협력 거버넌스 구축과 지역 착근화, ② 연계의 파편화와 실질 협력 미비 2개 범주에 따른 12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넷째, 성인학습자 친화적 환경 혁신: ‘맞춤형 지원 vs. 지속성 한계’라는 상반된 평가에 대해서 ① 맞춤형 지원 체계의 강화와 학습 참여 촉진, ② 지속가능성 제약과 자원 배분 불균형의 지속 2개 범주에 따른 5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대학 간 네트워크 모델 및 공유대학체제 실험: ‘초연결 모델 vs. 제도적 한계’라는 이중적 양상에 대해 ① 공동교육 거버넌스와 공유대학체제의 확장 잠재력, ② 제도적 복잡성과 정책 실행력의 한계 2개 범주에 따른 7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적 통찰을 바탕으로, 대학 평생교육체제 전환을 위한 정책적 함의와 실천적 방향을 성찰적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LiFE(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of Education) project as a critical policy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s, and explores sustainable directions for such systems in the post-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framework era. Drawing on in-depth perspectives from field practitioners and academic experts, the study identifies and interprets a dual issue-specific evaluation landscape of the LiFE project(2019–2025), capturing both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across five thematic domains. First, in institutionalization and structural transition, two contrasting categories—(1) expansion of institutional evolution and structural innovation, and (2) organizational resistance and entrenchment of internal boundaries—generated nine subcategories. Second, regarding curricular and academic operations innovation, two categories—(1) diversification of academic pathways and expansion of flexible operational systems, and (2) institutional rigidity and limitations in support infrastructure—produced seven subcategories. Third, the theme of regional innov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tension between (1) building collaborative regional ecosystems and governance for local embeddedness, and (2) fragmented partnerships and lack of substantive cooperation, yielding 12 subcategories. Fourth, in terms of adult learner–friendly environments, the analysis contrasted (1) strengthened tailored support systems and promo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with (2) sustainability limitations and continued imbalances in resource allocation, resulting in five subcategories. Fifth, experiments in inter-university networks and shared university models were categorized as (1) expansion potential of joint governance and hyper-connected systems, and (2) institutional complexity and weak policy implementation capacity, producing seven subcategories. Based on these analytical insights, the study offers a reflective discussion on the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transitioning toward a sustainable higher lifelong educ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LiFE 사업 쟁점별 평가의 이중 지형도: 성과 vs. 한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 AI 시대 교육에서 ‘We co-emerge’ 개념화: 관계적 교육론의 철학적 분석
-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 생성학습 전략 및 동료학습자 유무가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와 인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기반 자동 채점을 적용한 서술형 교직 적·인성 평가 도구 개발
- 교사의 교권과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 간의 갈등 양상과 중재 탐색
- 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 시청각 치환 기술 학습에서 스캐폴딩 제공의효과 분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네 가지 유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전공 전환 경험 탐색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변화 주요 변인의 선택과 통계적 추론 및 변화양상 분석
- 대학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일과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 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RISE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전환: LiFE 사업에 대한 성찰과 정책적 함의
-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 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 과제비용 연구의 동향 분석: 이론, 측정,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