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이용수  0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f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e Dilemma of the Integrated Subject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임유나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465~49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고, 교과가 교과로서 존립하기 위한 조건에 비추어 통합교과가 직면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의 성격과 존립 조건을 탐색하고, 4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통합교과의 성격과 내용 체계의 변천을 시기별로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현행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는 원천교과 기반의 합과형 통합에서 생활과 경험을 강조하는 탈교과적 주제 중심 통합을 거쳐, 학습자의 삶과 존재를 중시하는 존재론적 접근으로 변화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통합교과의 독자성을 확보하려는 시도와 분과 교과의 요구를 수용해야 하는 외부 압력 사이의 긴장 속에서 전개되었고, 그 결과 통합교과의 정체성과 위상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22 개정에서 적용한 존재론적 접근은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내용 체계의 위계성과 논리성을 약화시켜 교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교과의 안정적 존립을 위해 일정한 위계와 논리에 따른 체계성과 계열성을 갖춘 지식 구조를 마련하고, 학년 간 학습 경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가교 기능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critically discuss its issues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existence of school subjec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school subjects, reviews the evolu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22 revision, and analyzes the current curriculum.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subject has shifted from additive integration based on original subjects to extra-disciplinary, theme-centered integration emphasizing students’ daily lives and experiences, and most recently, to an ont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learners’ lives and existence. However, these transitions have unfolded under the tension between efforts to establish subject identity and external pressures to meet disciplinary demands, leaving its status unstable. The ontological approach of the 2022 revision, while valuable in respecting students’ experiences, weakens the hierarchical and logical structure of content. The study argues for reconstructing a coherent knowledge system and reinforcing the bridging function across grade levels to ensure stability and educational value.

목차

Ⅰ. 서 론
Ⅱ.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에 대한 탐색
Ⅲ. 통합교과의 성격과 내용 체계의 변천
Ⅳ.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유나. (2025).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교육학연구, 63 (6), 465-497

MLA

임유나.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교육학연구, 63.6(2025): 465-4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