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Profiling Job Stress and Exploring Predictor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미림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183~2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TALIS 2018에 참여한 한국 중학교 교사 2,890명을 대상으로 교사 직무 스트레스의 잠재집단을 규명하고, 집단 간 차이를 설명하는 예측 요인을 탐색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 교사 직무 스트레스는 ‘전방위 고스트레스형’(8.5%), ‘선별적 중등도 스트레스형’(33.8%), ‘안정적 적응형’(22.6%), ‘저부담 적응형’(35.2%)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집단 분류 모형은 AUC .735의 양호한 성능을 보였으며, 변수 중요도 분석에서 동료 교사 간 신뢰, 문제행동 학생 비율, 교실 운영 자율성, 교사효능감 등이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분 의존성 도표(PDP) 분석 결과, 동료 교사 간 신뢰는 선형적 보호 효과를, 문제행동 학생 비율은 표준화 점수 0.5 이상에서 명확한 임계점 효과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은 매우 높은 수준에서 오히려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비선형적 패턴이 관찰되었다. 개별 조건부 기댓값(ICE) 곡선을 통해 주요 변수들의 효과 방향성은 일관되게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에는 상당한 개인차가 존재함을 확인하여, 제도적 개선과 함께 개별 교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잠재집단분석과 기계학습 방법을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교사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방법론적 확장을 시도하였으며, 교사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 job stress profiles and their predictors using data from the TALIS 2018 survey of 2,890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Latent class analysis identified four groups: ‘pervasive high-stress’ (8.5%), ‘selective moderate-stress’ (33.8%), ‘stable adaptation’ (22.6%), and ‘low-burden adaptation’ (35.2%). A random forest model distinguishing the highestand lowest-stress groups showed satisfactory performance (AUC=.735), with key predictors including collegial trust, proportion of disruptive students, classroom autonomy, and teacher self-efficacy. Partial dependence plots revealed a linear protective effect of collegial trust, a threshold effect for disruptive students, and non-linear patterns where extremely high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tress. Individual conditional expectation curves confirmed substantial variation in effect sizes across teachers, suggesting the need for individualized support. The study demonstrates the value of integrat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o inform teacher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림. (2025).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63 (6), 183-214

MLA

김미림. "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63.6(2025): 183-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