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시대 교육에서 ‘We co-emerge’ 개념화: 관계적 교육론의 철학적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Conceptualizing ‘We Co-emerge’ in AI Era Education: A Philosophical Analysis of Relational Educational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형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5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대 교육철학의 개체론적 접근은 AI 시대에 한계를 드러낸다. Biesta의 ‘someone becomes’ 이론은 관계적 과정을 강조하나, 개별 주체 형성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AI 개별화 교육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별 중심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는 ‘We co-emerge’ 개념을 제안한다. 이 개념은 복수적 주체성, 상호적 창발성, 의미론적 창발성, 시간적 개방성 등 네 차원으로 구성된다. 교육적 만남에서 개별성과 관계성이 동시에 창발하는 과정을 포착한다. 특히 물질적 네트워크론과 달리 교육적 만남의 의미창발에 내재한 고유한 시간성에 주목한다.
철학적 사고실험과 개념 분석을 통해 세 가지 AI 교육 조건을 검토한 결과, 학습 개별화, 관계의 알고리즘적 매개, 효율성 중심 시간 관리가 ‘We co-emerge’를 구조적으로 제약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은 단순한 한계를 넘어, 현대 교육이 상실한 본질적 차원을 조명함으로써 비판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한국의 절차탁마 전통과 협력적 학습 문화에 대한 검토는 ‘We co-emerge’ 개념이 추상적 구성물이 아닌 현실에 뿌리를 둔 가능성임을 보여준다. 교육 실천 차원에서 교사의 공동 탐구자로서의 역할, AI와의 혼종적 관계, 과정 중심 평가로의 전환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론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개체론과 전체론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제3의 관계론적 접근을 제시하며, AI 시대 교육에서 기술적 효율성과 교육적 관계성 간 긴장을 분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s individualistic approach reveals limitations in the AI era. Even Biesta's 'someone becomes' theory, despite emphasizing relationality, structurally resembles AI individualized education in focusing on individual subject 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We co-emerge’—comprising plural subjectivity, mutual emergence, semantic emergence, and temporal openness—to transcend individual-centered limitations. Through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examining AI-mediated education conditions (individualization, algorithmic mediation, efficiency-focused time), this research illuminates essential dimensions lost in contemporary education.
Korea's jeolcha-takma tradi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culture demonstrate this concept as reality-rooted possibility. The study proposes teachers as co-inquirers, hybrid AI relationships, and process-based assessment, presenting a relational approach beyond the individualism-collectivism dichotomy while analyzing tensions between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educational relationality.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적 주체화 이론의 재검토와 관계적 존재론의 철학적 탐구
Ⅲ. 사고실험을 통한 ‘We co-emerge’ 개념 탐구
Ⅳ. ‘We co-emerge’ 개념의 교육실천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 AI 시대 교육에서 ‘We co-emerge’ 개념화: 관계적 교육론의 철학적 분석
-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 생성학습 전략 및 동료학습자 유무가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와 인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기반 자동 채점을 적용한 서술형 교직 적·인성 평가 도구 개발
- 교사의 교권과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 간의 갈등 양상과 중재 탐색
- 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 시청각 치환 기술 학습에서 스캐폴딩 제공의효과 분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네 가지 유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전공 전환 경험 탐색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변화 주요 변인의 선택과 통계적 추론 및 변화양상 분석
- 대학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일과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 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RISE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전환: LiFE 사업에 대한 성찰과 정책적 함의
-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 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 과제비용 연구의 동향 분석: 이론, 측정,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과제비용 연구의 동향 분석: 이론, 측정,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 모든 유아를 위한 기독교세계관 그림책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