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변화 주요 변인의 선택과 통계적 추론 및 변화양상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Variable Select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for Changes i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Analysis of Its Trajector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아 정혜원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313~34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진로성숙도 변화를 고려하는 핵심 예측변인을 도출하고,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 및 주요 변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0, 13, 16차년도 가구용, 가구원용, 아동부가조사 자료(n=310)에 종단자료의 위계적 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벌점화 회귀모형과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특성 변인에서는 학교성적,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학교유대감, 자아존중감, 친구 애착 및 친구의 또래 애착, 학습지도 경험, 취미/특기 관련 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일 평균 TV 시청 시간 및 인터넷 과의존(일탈행동)은 진로성숙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부모 및 가구 특성 변인에서는 아동상담/집단 프로그램 경험 여부는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데 반해, 학비지원 경험 여부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변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다층성장모형 분석 결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ASSO를 통해 선택된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변인이 LASSO 분석과 동일한 부호와 유의성을 보였으나, 우울 및 불안, 부모의 고용보험 가입 여부는 다층성장모형에서만 정적으로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추가 확인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key predictors of changes in career maturity during adolescence, analyze changing patterns, and empirically test the effects of key predictors. Using the 10th, 13th, and 16th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n=310), penalized regression model and multilevel growth model were applied to account for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data.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performance,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chool bonding, self-esteem, peer attachment, friends’ peer attachment, learning guidanc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hobby or talent-related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maturity, whereas average daily TV viewing time and internet overdependence (deviant behavior) had negative effects. Parents’ experience with child counseling or group programs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maturity, while experience with tuition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s had negative effects. Multilevel growth model revealed that adolescents’ career maturity decreased over time. When variables selected by LASSO were included as predictors, most showed consistent signs and significance levels with the LASSO results; but depression and anxiety, and parents’ employment insurance enrollment emerged as additional positive factors only in the multilevel growth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strategies to promote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 AI 시대 교육에서 ‘We co-emerge’ 개념화: 관계적 교육론의 철학적 분석
 -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 생성학습 전략 및 동료학습자 유무가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와 인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기반 자동 채점을 적용한 서술형 교직 적·인성 평가 도구 개발
 - 교사의 교권과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 간의 갈등 양상과 중재 탐색
 - 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 시청각 치환 기술 학습에서 스캐폴딩 제공의효과 분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네 가지 유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전공 전환 경험 탐색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변화 주요 변인의 선택과 통계적 추론 및 변화양상 분석
 - 대학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일과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 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RISE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전환: LiFE 사업에 대한 성찰과 정책적 함의
 -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 과제비용 연구의 동향 분석: 이론, 측정,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 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