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교권과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 간의 갈등 양상과 중재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Conflict Dynamics Between Teachers' Authority and Parents' Educational Rights: Exploring Mediation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혜 최윤진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141~18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의 교권과 학부모의 자녀 교육권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정도가 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교육권은 상호존중 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토대로 각 집단의 권한(authority) 수준에서 발생하는 갈등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중고 교사 15명과 학부모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학부모 갈등의 실상(實狀), 상흔(傷痕), 중재(仲裁)로 핵심 범주를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와 학부모 갈등의 실상(實狀)은 교권 침해의 실상으로 교사의 학생 평가 및 기록에 대한 수정 요구, ‘기분상해죄’가 되어버린 학생생활지도, 예의와 상식의 실종: 내 자녀 이기주의에서 발로한 과도한 민원 제기, 학생의 학습권 침해의 실상으로 훈육이라고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의도적 배제’, 선을 넘지 않기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와 학부모 갈등의 상흔(傷痕)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각자 자신의 정당한 교육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상황을 마주하며 위축되고 무력감을 느끼고 있는 것과 결과적으로 그 폐해는 학생이 배워야 할 것을 배우지 못하는 상흔으로 남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육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교사와 학부모가 제안하는 중재 방안은 교사와 학부모의 입장에서 각각 제도적 차원, 학교조직 차원, 교사 또는 학부모 주체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 주체로서 교사와 학부모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자기성찰의 중요성과 상호 존중을 토대로 새로운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교육적 동반자 관계’의 회복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growing conflict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 authority and parents’ rights in Korean school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educational right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mutually respected, the study investigates conflict patterns and possible mediation strateg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teachers and 9 parent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s.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ree core themes: the Realities of Conflict, the Scars of Conflict, and Mediation. Conflicts included demands to alter student records, excessive complaints, and overcautious teaching, which harmed both teacher authority and students’ learning rights. Both teachers and parents expressed feelings of disempowerment, leading to misse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Medi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across three levels: institutional (e.g., policy support), school-organizational (e.g., communication structures), and individual (e.g., mutual understanding).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self-reflection o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nd call for rebuilding trust through respectful educational partnership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 AI 시대 교육에서 ‘We co-emerge’ 개념화: 관계적 교육론의 철학적 분석
-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 생성학습 전략 및 동료학습자 유무가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와 인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기반 자동 채점을 적용한 서술형 교직 적·인성 평가 도구 개발
- 교사의 교권과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 간의 갈등 양상과 중재 탐색
- 잠재집단분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화와 예측 요인 탐색
- 시청각 치환 기술 학습에서 스캐폴딩 제공의효과 분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네 가지 유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전공 전환 경험 탐색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변화 주요 변인의 선택과 통계적 추론 및 변화양상 분석
- 대학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일과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 탈-탈근대 시대의 교육 연구의 방향: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RISE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전환: LiFE 사업에 대한 성찰과 정책적 함의
- 교과의 형성과 존립 조건을 통해 본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교과의 딜레마
- 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 과제비용 연구의 동향 분석: 이론, 측정,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