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utoethnography on the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teacher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임장균(Jang-gyun Yim) 임경원(Kyoung-won L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30권 제3호, 101~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11년간 일반고등학교에서 근무한 특수교사의 교직 경험을 드러내고, 그 안에서 특수체육전공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실천한 체육교과 지도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2013년부터 11년간의 기억자료와 문화적 인공물, 면담자료 등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체육교과 수업을 하게 된 것은 특수교사로서 역할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었고, 둘째, 일반학급 체육수업 지도 경험을 통해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한계를 체감하여 특수학급 자체의 체육 교과 수업을 시도하게 되었으며, 셋째, 특수학급 체육수업을 기반으로 다양한 대회 참가 및 팀 스포츠 활동을 실행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협동 정신과 사회성을 길러 주게 되었다. 논의: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특수교사의 전공교과 전문성 개발을 바탕으로 다양성 있는 교과 학습 기회 제공을 위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eaching experience of special teachers who have worked in general high schools for 11 year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teaching experience practiced to find their identity as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 Memory data, cultural artifacts, and interview data for 11 years from 2013 were collected as a self-cultural technology journal research metho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practical eclecticism. Results: Firs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were an effort to find a role identity as a special teacher. Second, by experiencing the limita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classes, they attemp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special classes themselves. Third, by participating in various competitions and carrying out team sports activities based on special classes, they developed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social skill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studies, various follow-up studies to provide various subsequent research opportunities for providing textbook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textbook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 의미단위 띄어읽기 중재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 지적장애 성인 대상 구강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 분석
-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