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Inquiry-Based Learning Experiences: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Inquiry and Implications for Course Design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배예나(Yena Bae) 권나연(Nayeon Kwon)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11권 제3호, 281~31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탐구학습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 속에서 탐구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탐구수업 설계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대학교에서 탐구 중심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고, 전사 자료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대주제, 12개의 중심 의미, 60여 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대주제는 ‘① 탐구의 문을 두드리다, ② 탐구 과정에서의 혼란과 도전, ③ 탐구 속에서 다시 발견한 ‘나’, ④ 탐구의 길을 확장하다’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참여 배경과 초기 인식에서 설렘과 긴장을 경험하였고, 탐구 과정에서 과제의 모호성, 지식·기술적 한계, 팀 갈등 등으로 인한 혼란과 좌절을 겪었다. 그러나 문제 재정의, 협력과 소통, 개인 학습 전략을 통해 몰입과 성취로 나아갔으며, 탐구를 단순한 과제가 아닌 배움의 과정으로 재의미화하고 수동적 학습자에서 능동적 탐구자로 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성공적인 탐구학습을 위해 교수자의 촉진자 역할과 세심한 피드백, 학습자 자율성과 지원의 균형, 유연한 수업 설계, 탐구 경험의 확장과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탐구수업의 설계·운영 방향과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f inquiry-based learning and examines how the meaning of inquiry is reconstructed through those experiences, with the aim of deriv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course desig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students enrolled in inquiry-centered courses at I Univers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four overarching themes: (1) initial engagement in inquiry, (2) confusion and challenges during the process, (3) rediscovery of self within inquiry, and (4) expansion of the inquiry path. Students reported initial excitement accompanied by tension but also encountered difficulties such as task ambiguity, limited knowledge and skills, and team conflicts. Through problem redefinition, collaboration, and individual learning strategies, they transformed frustration into immersion and achievement, reinterpreting inquiry as a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and shifting from passive learners to active inquirers.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facilitative roles, constructive feedback, balanced autonomy and support, and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quiry-based courses in higher education.

목차

I. 들어가며
II. 탐구학습에 관한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예나(Yena Bae),권나연(Nayeon Kwon). (2025).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질적탐구, 11 (3), 281-312

MLA

배예나(Yena Bae),권나연(Nayeon Kwon).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질적탐구, 11.3(2025): 281-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