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Studies on Stuttering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진훈(Jinhoon Kim) 이은주(Eunju Lee)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1권 제3호, 187~238쪽, 전체 5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9,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말을 더듬는 사람들의 삶의 경험을 종합하고 비교·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인 말더듬 경험과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의 말더듬 당사자의 삶의 경험을 다룬 국내·외 질적 연구물 22편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의 7단계에 따라 대상 질적 연구물에 제시된 주제 및 해석과 참여자들의 발화를 해체하고 다시 합성함으로써 새로운 범주를 찾고 범주에 따라 재배치하며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개념, 하위범주,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창하지 않은 길 위의 삶’, ‘말더듬 너머의 여정’, ‘나를 찾아가는 여정’, ‘말더듬의 길에서 마주한 시선의 갈림길’이라는 4가지 상위주제로 종합하였다. 본 연구는 말을 더듬는 사람들의 생애 전반에 걸친 경험을 통해 말더듬이 말하기의 어려움을 넘어 개인적, 사회적 맥락과 긴밀히 연결된 문제임을 살폈으며, 이에 따라 말더듬치료는 개인의 삶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지원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overall experiences and meanings of stuttering by synthesiz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ived experiences of people who stutter through a qualitative meta-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22 domestic and international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that captured the vivid lived experiences of people who stutter. Following the seven steps of qualitative meta-analysis, the study deconstructed and re-synthesized the themes, interpretations, and participants’ narratives presented in the selected studies to identify new categories, reorganize them, and reinterpret the data. Through this process, concepts, subcategories, and overarching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indings were integrated into four main themes: “Life on the Disfluent Path,” “The Journey Beyond Fluency,” “The Journey Toward the Self,” and “The Crossroads of Perception on the Path of Stuttering.” This study explored how stuttering is not merely a difficulty in speaking but is intricately connected to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across the life spa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rgues that speech-language therapy should be expanded to holistically understand and support the lives of people who stutter.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예술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쟁점: 만화소설 형식의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심화전공 탐색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상담전문가 정체성 발달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 목회자 성인초기 자녀의 대상관계 경험 연구
- 언어폭력 내담자와의 치료 관계에서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소진 과정과 회복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공립대안학교 교감 역할 수행 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질적탐구 제1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예술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쟁점: 만화소설 형식의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