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요목기 「중등 가사교본」의 가정교육학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during the Syllabus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정 한주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 가정 교과서인 「중등 가사교본」 1-3권을 분석하여 가정교육학적 함의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DF 사본을 수집⋅정제한 후 내용 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등 가사교본」은 표지⋅머리말⋅차례⋅본문의 체계적 구성을 갖추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단어 수, 연구문제, 삽화와 표가 증가하여 점차 심화되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조를 보였다.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 ‘사람’, ‘생활’, ‘가정’, ‘가족’, ‘일’이 공통적으로 핵심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주제가 일상생활에서 국가적 책무, 더 나아가 가족 경제와 생활문화로 확장되었다. 특히 ‘가정’은 개인⋅국가⋅가족을 포괄하는 교육적 핵심 개념으로 의미가 심화되었다. 셋째, 「중등 가사교본」에 내재된 가정교육학적 함의는 당대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과학적 생활 개선과 자기관리 역량을 강조하며, 시민성 및 공동체적 책임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동시에, 여성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전통적 성역할 규범을 재생산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더 나아가 탐구와 문제해결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 가정과교육의 기원과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학문 적 근거를 제공하고, 가정과교육을 형성하는 핵심 가치와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Volumes 1-3) published during the Syllabus Period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PDF copies of the textbooks were collected and refined, and both content analysis and text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s consisted of a systematic structure—cover, preface, table of contents, and main text—and demonstrated a spiral curriculum in which the number of words, research questions, illustrations, and tables increased, and the content became more advanced by grade level. Second, in terms of content, the common core concepts were “person,” “life,” “home,” “family,” and “work,” while the themes expanded from everyday life to national responsibility, and further to family economy and culture. In particular, “home” was presented as an educational core concept that encompassed the individual, the family, and the nation. Thir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included reflecting everyday life at the time, emphasizing scientific improvement of daily practices and self-management, fostering citizenship and communal responsibility, highlighting women’s roles while simultaneously reproducing traditional gender norms, and presenting inquiry-and problem-solving-based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historical and academic grounds for understanding the origins and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hile also offering insights into the fundamental value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continue to shape the field today.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제언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서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직업경험의 매개효과: 성별간 차이분석
- 메이커톤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교수요목기 「중등 가사교본」의 가정교육학적 함의
-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고등학교 가정과의 역량 기반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