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Design Thinking-Based Ecological Transition Dietary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오맑음 박미정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69~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의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생태시민 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9차시의 ‘지구생존(지구를 구하는 생태공존)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school의 디자인씽킹 5단계를 적용하여 개발한 9차시 활동을 교육 경력 6년 이상의 현직 가정과 교사 7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문항의 평균은 4.82(5점 만점), CVI는 0.96으로 우수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생태시민성 사후 평균값(3.79)이 사전 평균값(2.8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p <0.001, t=15.99)되었다. 또한, 생태시민성 영역별 Cohen’s �� 분석 결과 참여(1.08), 지속가능성(1.05), 책임(1.04), 정의(0.95) 순으로 큰 효과가 확인되어, ‘지구생존 식생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생태시민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가정과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함과 동시에 가정교과가 생태전환교육의 가치와 목표를 구현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교과임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cological transition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in home economics classes and to analyze its impact on ecological citizenship. Following the ADDIE model, a nine-session program titled Earth Survival Dietary Life: Ecological Coexistence to Save the Earth was conducted with first-year students at D High School in Sejong City. The program was structured around the five stages of design thinking proposed by the Stanford d.school: empathy, problem definition, ideation, prototyping, and sharing. Validation by seven experienced home economics teachers yielded an average score of 4.82 out of 5 and a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0.96, demonstrating excellent content validity. Students' ecological citizenship, measured using a 24-item instrument covering responsibility, justice, sustainability, and participation (Cronbach’s α = 0.93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re- and post-program surveys analyzed using SPSS 30.0 revealed an increase in the mean score from 2.86 to 3.79 (p < 0.001, t = 15.99). Large effect sizes were observed in participation (1.08), sustainability (1.05), responsibility (1.04), and justice (0.95). Open-ended responses indicated enhanced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thinking-based approach.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but also highlights the subject’s pivotal role in achieving the goals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ese findings offer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맑음,박미정. (2025).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 (3), 69-90

MLA

오맑음,박미정.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3(2025): 69-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