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이커톤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이용수 0
- 영문명
- Case Study on Extracurricular Programs Addressing Community Issues through MAKEathon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민 이하나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해당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이커톤을 개발 및 진행하여, 참가자들의 관련 역량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메이커톤의 주제는 플라스틱 없는 관광도시 만들기로 참가자는 지역 청소년과 대학생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지속가능발전역량, 창의인재역량,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인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기본적인 인구학적 배경을 묻는 문항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사전 및 사후검사에 모두 성실하게 응답한 29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R을 활용하여 선형 혼합 모델(Linear Mixed Models, LMM)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모든 역량에서 사전-사후검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해서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은 대학의 지역사회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가치와 확장가능성을 공유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추후 유사 프로그램으로의 활용 통해 문제의 다양성, 경험과 보상의 확장, 활동범위의 확대 등으로 공통의 비전을 제시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non-curricular program, the "MAKEathon," aimed at addressing community issues, and to analyze participants' transformations to valid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theme of the MAKEathon was "Creating a Plastic-Free Tourism City," and participants comprised local youth and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he survey instruments included items measuring competenc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e talent capacity,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program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backgrounds. Data from 29 respondents who completed both the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using linear mixed models (LMM) via R software. The survey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ompetencies, providing evidence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program satisfaction score was notably high, with an average of 4.64.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program holds significant value as a non-curricular initiative that links universities to local communities. Future expansions of the program may offer enhanced educational outcomes by addressing a broader diversity of issues, expanding experiences and incentives, and widening the scope of activities, thereby fostering a shared vision and contributing to the resolution of various community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서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직업경험의 매개효과: 성별간 차이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교수요목기 「중등 가사교본」의 가정교육학적 함의
-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고등학교 가정과의 역량 기반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메이커톤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