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서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보은 계은슬 송여민 김기랑 유난숙 최경은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17~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중학교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주도적 삶」과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반영 양상과 교과서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가정교과서 5종의 활동과제를 디지털 리터러시 반영 정도에 따라 도구적 수준과 심화적 구현 수준으로 분류한 뒤, 심화적 구현 수준의 활동과제를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소별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6인의 협의를 통해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간발달과 주도적 삶」 영역에서는 ‘디지털 의식⋅태도’의 하위요소인 생명 존중 의식, 디지털 준법정신, 디지털 예절이 주로 반영되었으며, 또래⋅세대 관계나 성 가치관 관련 성취기준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반면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이해와 활용’의 하위요소인 소프트웨어 활용, 정보관리, 최신 기술 이슈와 더불어, ‘디지털 사고능력’의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그리고 ‘디지털 실천 역량’의 문제해결 등이 강조되었다. 전체적으로 「인간발달과 주도적 삶」 영역은 의식⋅태도 영역의 하위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은 테크놀로지, 사고능력, 실천 역량의 하위요소가 주로 반영되었다. 그러나 두 영역 모두에서 ‘최신 기술 이슈’, ‘의사소통⋅협업’, ‘콘텐츠 창작’과 같은 하위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영역의 특성에 적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소들이 균형 있게 반영될 필요성을 보여주며, 가정교과의 실생활 맥락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ntegration of digital literacy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Human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iving” and “Lif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domain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earning activities from five textbooks were classified by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reflection, and advanced-level activities were analyzed in detail. A panel of six experts reviewed and validated the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Human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iving domain, sub-elements of Digital Consciousness and Attitude—namely Respect for Life, Digital Law-Abiding Spirit, and Digital Etiquette—were most frequently emphasized, particularly i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peer and generational relationships and value formation. In contrast, the Lif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domain emphasized sub-elements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e.g., Software Use, Information Management, Emerging Technology Issues), as well as sub-elements of Digital Thinking Ability such a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of Digital Practical Competency such as Problem-Solving. Overall, the Human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iving domain reflected a stronger focus on the sub-elements of Digital Consciousness and Attitude, while the Lif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domain highlighted sub-elements of Technology Use, Thinking Ability, and Practical Competency. However, both domains showed relatively limited integration of sub-elements such as Emerging Technology Issue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Content Cre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a balanced integration of digital literacy sub-elements tailored to each domain and for systematic approaches to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the real-life contex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서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직업경험의 매개효과: 성별간 차이분석
- 메이커톤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교수요목기 「중등 가사교본」의 가정교육학적 함의
-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고등학교 가정과의 역량 기반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