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이용수  18

영문명
Practice Directions and Preconditions for Multidisciplinar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Challenging Behavior : Toward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Beyond Professional Boundari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박광옥 윤란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437~46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초영역(transdisciplinary) 접근에 기반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구현을 위한 전제 조건을 탐색하였다. 초영역 접근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Kruger와 Shriberg(2004)의 ‘PERFORMS’ 원칙을 기초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원칙으로 전인적 접근, 수평적 협력과 상호 학습, 개방적이고 유연한 의사소통, 가족 참여와 존중, 표준화된 절차 및 서비스 구조,기관 차원의 지원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제 구현을 위한 네 가지 전제로 전문가의 확장, 지원의 시스템화, 공통기반 정보의 조직화, 다학제 지원의 이해와 사고 전환 등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초영역적 다학제 지원이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법적 근거 마련,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위한 필수 지원체계로의 제도화,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중심의 거점기관 설립 등의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actice directions and prerequisites for implementing multidisciplinar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exhibit challenging behavior, based on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trans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PERFORMS’ principles proposed by Kruger and Shriberg(2004), the study identified key directions and principles for multidisciplinary support: a holistic approach, horizontal collaboration and mutual learning, open and flexible communication, family participation and respect, standardized procedures and service structures,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addition, four core precondi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are proposed: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roles, systematization of support structures, organization of shared foundational in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hared understanding and paradigm shifts in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Lastly, for trans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 support to be institutionalized,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stablish a legal foundation, integrate this model into a national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in specialized personnel, and establish regional hub institutions to provide structural and operational support.

목차

1. 서론
2. 기존 다학제 지원의 비 정합성: 왜 초영역적 접근인가?
3. 초영역적 접근의 역할방출과 그 의미
4. 초영역적 접근의 구현을 위한 이론적 전제
5.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의 초영역적 지원을 위한 구상 : Kruger와 Shriberg(2004)의 ‘PERFORMS’ 원칙 기반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광옥,윤란. (2025).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한국장애인복지학, (), 437-460

MLA

박광옥,윤란.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한국장애인복지학, (2025): 437-4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