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Interventions to Improve Social Skil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 Focusing on Korean Academic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신명미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251~2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에서 2024년까지의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ADHD 아동 ·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전체 13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2000년~2010년, 2011년~2020년, 2021년~2024년 전반기까지로 구분하여 내용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로 초등학생(77.3%)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남학생만(56.4%)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둘째, 연구 방법에서 질적 연구와 실험 연구를 혼합한 연구(58.3%)가 많았으며 질적 연구는 점차로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중재 방법에서 예체능 기반 중재가 높았으며(47.7%), 특히 미술 관련 중재 비율이 가장 높았고, 부모 교육이나 훈련 등과 병합하여 실시한 경우도 많았다. 넷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2000년 ~ 2010년까지는 핵심 증상에 대한 이해가 주된 관심이었다면 2011년 이후에는 구체적인 문제 행동과 긍정적이고 예방적인 차원의 다양한 중재 방법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들이, 사회적 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형성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적응과 기능 향상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HD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강점 기반 중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향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통합적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focusing on Korea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A total of 132 paper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categorized into three time periods: 2000–2010, 2011–2020, and the first half of 2021–202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majority of the studies targe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77.3%) and focused exclusively on male participants (56.4%). Second, mixed-method research combining qualitative and experimental approaches was the most common (58.3%), with a gradual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studies over time. Third, arts and physical education-based interventions were most frequently used (47.7%), with art-related interventions being the most prevalent. Many studies also implemented interventions in conjunction with parent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s. Fourth, keywor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from 2000 to 2010, the primary research focus was on understanding core symptoms of ADHD. Since 2011, however, studies have increasingly explored specific behavioral issues and various positive, preventive intervention metho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researc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primarily aims to achieve social inclusion through fostering soci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building.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future direction for strength-based interventions and may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ailored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support system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 장애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CF-CY 모델을 활용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 국내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예비적 평가: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노인부모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 부모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장애유형별 분석
-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이용자 죽음에 대한 경험 : 죽음을 통해 보는 존엄한 삶을 향한 지원과 성찰
-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규범적 연구 : 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일상생활 미충족 욕구와 우울의 관계 :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