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이용수  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by Employment Type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김지우 김한솔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199~22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각 경로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차 웨이브 8차(2023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두 집단 모두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 형태에 따른 직무적 합성을 고려한 직무설계와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고용정책 수립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his mediating pathway diffe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8th wave of the seco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in 202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First, job suit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indicating that higher job suitability is associated with strong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greater job suitability led to increased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enha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effect of job suitability on job satisfac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employment type. Partial mediation was found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differentiated employment policy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designing jobs that reflect job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우,김한솔. (2025).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한국장애인복지학, (), 199-223

MLA

김지우,김한솔.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한국장애인복지학, (2025): 199-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