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Life History Research on Visually Impaired Subjects Who Lost Their Sight in Childhood -Viewed Through a Mandelbaumian Analytical Len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남윤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373~40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에 실명한 중도 시각장애인은 어떤 삶을 경험하였는지, 이들이 삶을 회복하고 건강한 사회생활을 하는 데 무엇이 도움이 되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 방법과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 세 명의 생애사를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 Points), 적응(Adaptations)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사회 안전망 속에서 성장, 고등교육과 전문적 활동을 바탕으로 시각장애인 공동체의 리더로 발전」이었고, 전환점은 「위기 상황이 자기 성장의 기회」이었다. 적응은 「기회 활용, 끈질긴 도전, 책임감과 자기 초월」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생애는 「어둠 속에서 빛을 발견하고 계속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서 닫힌 문 열어가기」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중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을 제언하였다. 중도 시각장애인의 욕구와 적성을 파악하여 잠재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정책이 변화되어야 한다. 괜찮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혁신적인 장애인 고용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며, 시각장애인의 문화 활동의 개발과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중도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확대하고 강화하는 실천이 중요하고, 중도 시각장애인 복지 실천에서 영성의 긍정적인 기능을 인식하고, 이를 삶의 회복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kinds of life experiences visually impaired people in childhood, and what helped them recover their lives and lead a healthy social life. This study used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nd Mandelbaum's analysis method. The life history of three participants was analyzed in terms of dimensio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ife dimensions were “growth in a social safety net, development into a leader of the visually impaired community based on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he turning points were “crisis situations are the opportunities for self-growth.” Adaptations were shown as “utilization of opportunities, persistent challenges, and self-transcendence.” The life of this study participants can be said to be “finding light in the dark and getting up again even if you keep falling and opening the closed door.” I suggested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 needs and aptitudes of the visually impaired can be identified and their potential can be demonstrate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innovativ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to create decent jobs, and policies to develop culture activities for them. It is important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sitive function of spirituality in the welfare practice of the visually impair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 장애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CF-CY 모델을 활용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 국내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예비적 평가: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노인부모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 부모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장애유형별 분석
-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이용자 죽음에 대한 경험 : 죽음을 통해 보는 존엄한 삶을 향한 지원과 성찰
-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규범적 연구 : 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일상생활 미충족 욕구와 우울의 관계 :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