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Community Transition Syste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Gentle Transition: A Content Analysis and Context–Pattern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아영 임예직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307~34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인의 시설 퇴소와 지역사회로의 전환 과정은 심리·정서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수반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관련 정책과 지원체계에서는 이러한 전환의 초기 과정에서의 중요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장애인 당사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데 있어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지역사회 전환지원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삶의 질을 기반으로 한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 개념을 새롭게 검토하고, 지원체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스웨덴, 캐나다, 미국, 일본, 한국의 전환지원 체계 관련 제도 및 정책, 실천 관련 자료를 다중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거, 교육, 관계, 서비스, 심리·정서적 지원 등 다차원적 지원과 관련한 총 303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 중 스웨덴 자료에서는 31개, 캐나다 자료에서 90개, 미국 자료에서 24개, 일본 자료에서 21개, 한국 자료에서 13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영역별로는 관계 29개, 경제 24개, 주거 22개, 건강 11개 등의 구성요소가 확인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맥락-패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부드러운 전환지원의 탐색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 영역별로 모델을 보다 구체화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transi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institutional settings to community living is a complex process involving profound psychological, emotion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Current Korean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however, do not sufficiently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initial stage of transition or fully ensure the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ndertook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terials on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transition support to explore a quality-of-life-oriented support framework. In doing so, it newly introduced the concept of Gentle Transition as a theoretical lens for understanding and designing community transition supports. Employing Robert Yin’s (2018)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a multi-case study was conducted across Sweden, Canad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by analyzing relevant institutions, policies, and practices.
The analysis identified 303 components associated with multidimensional supports—spanning housing, health, economy, education, relationships, services, and psychological/emotional well-being. Regarding the components, 31 were drawn from Swedish sources, 90 from Canadian sources, 24 from U.S. sources, 21 from Japanese sources, and 137 from Korean sources. The findings included the following domains: 29 components related to relationships, 24 to economy, 22 to housing, and 11 to health.
Using the identified components, a context–patter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propose an exploratory model of Gentle Transition support. The study then concluded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to further specify models within each domain and assess their policy applicability through empirical valid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 장애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CF-CY 모델을 활용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 국내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예비적 평가: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노인부모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 부모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장애유형별 분석
-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이용자 죽음에 대한 경험 : 죽음을 통해 보는 존엄한 삶을 향한 지원과 성찰
-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규범적 연구 : 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일상생활 미충족 욕구와 우울의 관계 :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