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Types of Housing Precarity and Coping Strategie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남지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71~10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이 인식하는 주거불안은 무엇이며, 어떤 유형의 주거불안을 겪고 있고 이에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12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주제어분석을 통해 3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 20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주거불안을 살 수 있는 집이 없기에 발생하는 근본적인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주거불안이 해결되어야 일상이 안정됨을 인식하고 있었다. ‘살 수 있는 집’은 ‘낮은 소득에도 살 수 있는 집’,‘오랜 시간 동안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집’,‘혼자서도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집’,‘지역의 접근성이 좋아 편하게 살 수 있는 집’, 내 몸에 맞추어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집’, ‘내 주도권을 갖고 살 수 있는 집’,‘거주가능한 주택 정보를 알 수 있어서 살 수 있는 집’, ‘주거정책으로 살 수 있는 집’으로 정의되었으며, 각 내용은 경제적·점유적·물리적 주거불안과 물리적 접근불안. 비물리적 접근불안에 대응할 수 있는 요소로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정책적·사적으로 주거불안에 대응하고 있었으나 또 다른 주거불안으로 이어져, 주거불안은 개별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있었다. 주거정책의 사각지대에 있거나 민간주택 시장에 접근하기 어려운 연구참여자들은 주거불안에 대응하는 것을 체념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를 고려한 주거비 지원 제도의 재설계, 장애인의 거주를 고려한 주거환경 기준의 개발과 주거환경 개선 사업의 개선, 장애인의 접근을 고려한 지역 접근성 개선 사업, 민간주택 시장의 접근성 강화, 주거권력에 대응할 수 있는 자립지원과 주거권 옹호활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ive housing Precarity, the types of Precarity they experience, and how they cope with i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participants, and thematic analysis identified three overarching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twenty concepts. Participants understood housing Precarity as a fundamental condition arising from the absence of “a house one can live in” and recognized that resolving housing Precarity was essential for stabilizing daily life. The notion of “a house one can live in” was defined in multiple ways: a house affordable even with low income, a house one can live in for a long time without worry, a house safe enough to live in alone, a house conveniently located with good accessibility, a house comfortable and adapted to one’s body, a house where one retains autonomy, a house made possible by knowing available housing information, and a house secured through housing policy. These dimensions corresponded to coping with economic, tenure-related, physical, and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access insecurities. Participants attempted to address housing Precarity through both policy-based and private means, yet these efforts often led to new insecurities, highlighting that housing Precarity emerges both individually and simultaneously across domains. Those situated in policy blind spots or excluded from the private housing market often resigned themselves to housing Preca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redesigning housing allowance schemes that consider disability, developing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and improvement projects tailored to disabled residents, enhancing regional accessibility, strengthening access to the private housing market, and promoting independent living support and housing rights advocacy to counter unequal power relations in housing.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 장애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CF-CY 모델을 활용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 국내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예비적 평가: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노인부모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 부모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장애유형별 분석
-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이용자 죽음에 대한 경험 : 죽음을 통해 보는 존엄한 삶을 향한 지원과 성찰
-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규범적 연구 : 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일상생활 미충족 욕구와 우울의 관계 :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