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Job Retention Experience of Young Women with Disabilit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김은하 김경미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225~2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들이 직장 내에서 마주하는 구조적, 문화적, 개인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직업유지에 기여하는 촉진 요인으로는 시차출퇴근제, 근로지원인 서비스, 문자통역서비스 등 제도적 지원과 함께, 동료 및 상사의 지지적인 태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반면, 직업유지의 저해 요인으로는 권위적인 조직문화, 미묘한 성차별, 성희롱 및 이에 대한 조직의 부적절한 대응 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2차 피해로도 이어졌다. 특히 청년 여성 장애인은 ‘여성’, ‘청년’, ‘장애인’이라는 다중 정체성으로 인해 복합적인 차별과 위계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지역성, 직무유형, 조직 내 권력구조 등과 교차하며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와 관련된 실질적 제도 사용과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 평등한 조직문화 조성, 장애인식개선, 모임 활동 지원, 전담인력 확충, 시차출근제 확대 등의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 depth the employment retention experiences of young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cultural, and individual factors they encounter in the workpla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collected via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study identified institutional supports—such as flexible working hours,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and real-time captioning—as key facilitators of job retention. Additionally, the supportive attitudes of colleagues and supervisors emerged as critical enablers. Conversely, barriers to employment retention included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s, subtle gender discrimination, sexual harassment, and inadequate institutional responses to such incidents, which often resulted in secondary victimization. Notably, participants experienced complex layers of discrimination and hierarchical positioning due to their intersectional identities as “women,” “youth,”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se intersecting experiences were further shaped by factors such as regional context, job type, and internal power dynamics within organizat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both institutional supports and inclusive organizational cultures in sustaining the employment of young women with disabilities. It proposes several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including the promotion of gender-equitable workplace environment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upport for peer networks and affinity groups, expansion of dedicated support personnel, and the broader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policies.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하,김경미. (2025).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 225-250

MLA

김은하,김경미.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2025): 225-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