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usical Creative Activities of People with Autism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채민 조한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7~4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의 의미를 자폐성 장애인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음악창조 활동 경험과 자폐성 장애인 지도 경력이 최소 5년이 되는 음악 지도자 5명, 그리고 5년 이상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이 있는 자폐성 장애인 5명을 H 기관으로부터 추천받았으며, 수집된 자료를 사례연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 지도자에 대한 일방적인 의존’, ‘음악 지도자에 대한 믿음과 기다림’, ‘음악 지도자를 의존하게 만드는 불안함과 막연함’, ‘의존 관계 속에서도 나를 만들어 가는 창조적 여정’의 네 가지 공통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자폐성 장애인이 가지는 고유한 창조적 표현이 주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은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의 가치로 타인으로부터 계수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로 그대로 존중되어야 하는 가치 있는 것임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에 관한 보다 깊은 이해와 통찰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musical creative activities of autistic people through the voices of autistic people themselves. To this end, five music instructors with at least five years of experience in musical creative activities and in teaching autistic people, and five autistic people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musical creative activities were recommended by “Institution 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ur common themes were derived: “unilateral dependence on music instructors”, “trust in and waiting for music instructors”, “anxiety and vagueness that make autistic people dependent on music instructors”, and “creative journey of creating myself even in a dependent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an attitude of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the unique creative expressions of people with autism is necessary so that they can express themselves subjectively. This study provided a deeper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the musical creative activities of people with autism by examining through the voices of the individuals involved th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re valuable and should be respected a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rather than being counted by others as the value of their ability to achieve goals.
목차
1. 서론
2. 문헌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 장애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CF-CY 모델을 활용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 국내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예비적 평가: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노인부모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 부모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장애유형별 분석
-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이용자 죽음에 대한 경험 : 죽음을 통해 보는 존엄한 삶을 향한 지원과 성찰
-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규범적 연구 : 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일상생활 미충족 욕구와 우울의 관계 :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