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Care Burde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김여진 고관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9호, 41~7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돌봄 부담과의 관계에서 장애 수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1월 10일부터 약 1개월 간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 261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8부를 제외한 24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 중 가족지지와 국가지원과 지역사회지지는 돌봄 부담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장애 자녀를 둔 부모 지지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가족지지와 국가 지원과 지역사회지지가 높을수록 돌봄 부담이 낮아지고, 장애 자녀를 둔 부모 지지가 높을수록 돌봄 부담이 높아진다.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 (가족지지, 장애 자녀를 둔 부모지지)가 돌봄 부담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조절 효과를 보였다. 즉,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돌봄에 대한 부담이 낮아지며 이러한 관계에서 장애 자녀에 대한 장애수용이 높아짐에 따라 돌봄 부담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발달 장애인 부모의 돌봄 부담을 완화하고 자녀의 장애에 대한 수용을 높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ing burden of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and online surveys of 261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about one month from November 10, 2023, and 24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18 insincere responses. As an analysis method, SPSS 23.0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mily support, state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aring burden, and parental support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family support, state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the lower the caring burden, and the higher the support for parent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caring burden.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mily support, parental support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in relation to the caring burde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ower the burden of caring, and in this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lower the level of caring burden. Based on these results, action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easing the burden of caring for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creasing the acceptance of children's disab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 장애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CF-CY 모델을 활용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 국내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예비적 평가: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용형태 비교
- 청년 여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연구
- ADHD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노인부모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 부모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부드러운 전환(Gentle Transition)에 기반한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체계 연구: 내용분석과 맥락-패턴 접근
-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장애유형별 분석
- 아동기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만델바움(Mandelbaum)의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이용자 죽음에 대한 경험 : 죽음을 통해 보는 존엄한 삶을 향한 지원과 성찰
- 도전적행동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학제 지원의 실천 방향과 전제 : 초영역적 접근, 전문성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구상
-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규범적 연구 : 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일상생활 미충족 욕구와 우울의 관계 :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