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n Emotional Intimacy in ‘Some’ and Romantic Relationships: The role of self-disclosure and caregiving behavior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장두용 안명희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699~7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이 정서적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썸’ 관계 혹은 연인 관계를 맺고 있는 미혼 성인 370명을 대상으로 집단별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불안애착은 돌봄제공 행동을, 회피애착은 자기노출을 매개로 정서적 친밀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연인 집단에서는 회피애착이 돌봄제공 행동을 매개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을 통해 순차적으로 정서적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추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 있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적 친밀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고, ‘썸’ 관계라는 불확실한 관계 맥락에서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담적 개입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무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emotional intimacy in some (Korean word for informal, pre-relationship mutual attraction) relationships and romantic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role of caregiving behavior and self-disclosure. Methods: A sample of 370 unmarried young adults aged 18 to 39, who were engaged in either a some relationship or a romantic relationship,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via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 both the some and romantic relationship groups, attachment anxiety had a mediating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rough caregiving behavior. However, with attachment avoidance, the romantic relationship group had an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rough self-disclosure as well as through self-disclosure and caregiving behavior, sequentially. In the some relationship group however, the attachment avoidance influenced emotional intimacy through self-disclosure only. Conclusions: Implications of findings regarding understandings and interventions for clients who experience difficulty with emotional intimacy whether in some or romantic relationship are discussed.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두용,안명희. (2025).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3 (3), 699-721

MLA

장두용,안명희.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3.3(2025): 699-7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