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ypology of Family Problems in Korea: Focusing on the relational conceptu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오청미 최연실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585~62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상담ㆍ심리치료 및 가족․관계 문제 분류체계를 검토하여 관계적 개념화에 기초한 가족문제 유형 분류체계 수립을 탐색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학술지 논문 21편을 분석하고 DSM-5-TR 관계문제 진단 기준, AAMFT 가족치료 주제 분류, 공공 상담기관 분류체계를 비교하였다. 국내 문헌은 이론ㆍ사례 중심 분류가 주를 이루었으며, DSM은 관계문제를 개별 증상의 요인으로 규정해 가족치료의 임상 근거를 제공하였다. AAMFT는 통합적 분류를 제시했으나 일부는 개인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한국적 문화와 부합하지 않는 주제는 검토가 요구되었다. 공공 상담기관은 사건, 증상 중심으로 관계 중심 개입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가족 상호작용 등 관계적 개념화를 반영한 가족문제 분류체계 정립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exploratory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typology of family problems centered on relational conceptualization. Methods: A total of 21 articles from major Korean family therapy journals were analyzed to identify analytical frameworks and key terms. In addition, the DSM-5-TR and AAMFT classification systems were reviewed, and problem-classification approaches in major Korean public counseling organizations were compared. Results: Korean studies generally categorized family problems into theoretical typologies or case-centered approaches. The DSM-5-TR frames relationship problems as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symptoms, highlighting their clinical intervention relevance. The AAMFT system provides thematic categories but is partly oriented toward the individual, requiring cultural adaptation. Public counseling systems rely mostly on symptom- or event-based classifications, which limit systemic relational interventions.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a family problem classification system rooted in family interaction processes and aligned with systemic perspectives in family therapy, thereby enhancing clinical and policy relevance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가족상담사발달 평가척도(KFC-DA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성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부모 소진의 관계: 인지적 재평가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 자녀를 학대하는 내담자의 가족 역동에 대한 다사례연구
- 정서중심 부부치료 관점에서 본 드라마『폭싹 속았수다』의 부부관계: 양관식-오애순, 부상길-박영란 부부 중심으로
- 해결중심상담 2.0 갤러리 모델의 가족상담 적용: 초기 회기 효과를 탐색한 파일럿 연구
-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순차매개효과
- 가족상담사의 정체성 위기와 회복의 여정: 기혼 여성 가족상담사의 내러티브 탐구
-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상담사 핵심역량척도(K-FCCC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