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ffect of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Spouse: The mediating role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장효진 안명희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467~49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성격 특성인 자기애적 취약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인지적 특성인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 역할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수집한 20~60대 기혼자 296명의 자기보고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기애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가 병렬 및 순차로 부분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대안모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적대적 귀인편향을 매개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분노반추를 매개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애적 취약성이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의 치료적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arcissistic vulnerability influence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oward spouses and whether this process is mediated by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from 296 married individuals aged 20 to 60.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to test the parallel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and compared against alternative model for analysi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narcissistic vulner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rough both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independently. Howeve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was not significant. Narcissistic vulnerability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odel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best-fitting model was an alternative model in which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partially double-mediated the effect of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s of cognitive processes in the link between narcissistic traits and marital communication styles.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효진,안명희. (2025).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3 (3), 467-497

MLA

장효진,안명희.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3.3(2025): 467-4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