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Spouse: The mediating role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장효진 안명희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467~4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성격 특성인 자기애적 취약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인지적 특성인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 역할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수집한 20~60대 기혼자 296명의 자기보고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기애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가 병렬 및 순차로 부분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대안모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적대적 귀인편향을 매개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분노반추를 매개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애적 취약성이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의 치료적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arcissistic vulnerability influence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oward spouses and whether this process is mediated by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from 296 married individuals aged 20 to 60.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to test the parallel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and compared against alternative model for analysi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narcissistic vulner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rough both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independently. Howeve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was not significant. Narcissistic vulnerability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odel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best-fitting model was an alternative model in which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partially double-mediated the effect of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s of cognitive processes in the link between narcissistic traits and marital communication styles.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가족상담사발달 평가척도(KFC-DA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성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부모 소진의 관계: 인지적 재평가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 자녀를 학대하는 내담자의 가족 역동에 대한 다사례연구
- 정서중심 부부치료 관점에서 본 드라마『폭싹 속았수다』의 부부관계: 양관식-오애순, 부상길-박영란 부부 중심으로
- 해결중심상담 2.0 갤러리 모델의 가족상담 적용: 초기 회기 효과를 탐색한 파일럿 연구
-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순차매개효과
- 가족상담사의 정체성 위기와 회복의 여정: 기혼 여성 가족상담사의 내러티브 탐구
-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상담사 핵심역량척도(K-FCCC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