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Mindfulnes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dult Attachment Among Middle-Aged Wome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김귀진 전영주 손지현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445~4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가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의 만40~64세의 중년 여성 35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년 여성의 개별화가 공생관계보다, 회피애착이 불안애착보다 높았으며, 마음챙김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분리개별화와 마음챙김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마음챙김과 성인애착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 수준이 높을수록 마음챙김이 향상되며, 이는 배우자와의 안정된 애착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마음챙김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dult attachment among middle-aged women. Methods: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358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4 residing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employing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participants showed higher levels of individuation than separation-individuation, along with higher levels of avoidant attachment as compared to anxious attachment. Seco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adult attachment, and mindfulness. Third, separation-individuation had both a direct effect on adult attachmen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indfulness on adult attachment. Mindful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is relationshi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separation-individuation in middle-aged women are associated with enhanced mindfulness, which in turn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table attachment with spouse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mindfulness as a psychological resource to support the emotional adjustment of middle-aged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가족상담사발달 평가척도(KFC-DA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성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부모 소진의 관계: 인지적 재평가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 자녀를 학대하는 내담자의 가족 역동에 대한 다사례연구
- 정서중심 부부치료 관점에서 본 드라마『폭싹 속았수다』의 부부관계: 양관식-오애순, 부상길-박영란 부부 중심으로
- 해결중심상담 2.0 갤러리 모델의 가족상담 적용: 초기 회기 효과를 탐색한 파일럿 연구
-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순차매개효과
- 가족상담사의 정체성 위기와 회복의 여정: 기혼 여성 가족상담사의 내러티브 탐구
-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상담사 핵심역량척도(K-FCCC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