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eraction-Based Family Play Therapy Utilizing Parent Education on Families With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염창현 선우현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625~65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을 둔 가족을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발달지연은 발달장애와 달리 진단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달 과제의 성취가 지연되는 특성을 지니며, 조기 개입을 통해 발달 궤도의 회복 가능성이 높고 ‘장애’라는 명칭이 주는 낙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를 적용한 결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는 향상된 반면, 거부적․통제적 태도는 감소하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가족 간 상호작용에서도 정서적 유대와 협력 중심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놀이 경험을 통해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 관계가 강화되고 가정 내 놀이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더 나아가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난 반면 대조집단에서는 변화가 없거나 부정적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 전체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맞춤형 개입을 적용하는 것이 발달지연 아동 가족의 상호작용 증진과 부모의 심리적 부담 완화에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가족치료적 접근의 실천적 가능성과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eraction-based family play therapy incorporating parent education for families with children experiencing developmental delay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with famil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tandardized measures and qualitative observations were used to assess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family interaction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experienced significant reductions in parenting stress and rejecting–controlling attitudes, alongside notable increases in affectionate and autonomy-supportive attitudes. Furthermore, family interactions improved through enhanced emotional bonds, coope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family play culture, whereas no such improvements, and in some cases negative trend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grating parent education with family play therapy provides an effective approach to promoting healthier family dynamics and alleviating parental psychological burdens, underscoring the value of early and system-focused intervention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가족상담사발달 평가척도(KFC-DA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성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부모 소진의 관계: 인지적 재평가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 자녀를 학대하는 내담자의 가족 역동에 대한 다사례연구
- 정서중심 부부치료 관점에서 본 드라마『폭싹 속았수다』의 부부관계: 양관식-오애순, 부상길-박영란 부부 중심으로
- 해결중심상담 2.0 갤러리 모델의 가족상담 적용: 초기 회기 효과를 탐색한 파일럿 연구
-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순차매개효과
- 가족상담사의 정체성 위기와 회복의 여정: 기혼 여성 가족상담사의 내러티브 탐구
-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상담사 핵심역량척도(K-FCCC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