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Study on Family Therapy for Clients with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윤영희 박태영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557~5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 내담자에 대한 국내 가족치료 사례연구들을 중심으로 우울증의 발병 요인, 치료자의 개입방식, 가족치료의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가족치료 사례연구 13편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치료에서 나타난 우울증의 발병 요인에는 ‘내담자 내면적 요인 및 심리적 특성’, ‘가족관계 및 상호작용’, ‘외부 환경적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자의 개입방식은 ‘치료적 관계 형성과 개입준비’, ‘문제개입 및 변화촉진’, ‘변화 유지 및 종결준비’ 세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다양한 치료 전략이 활용되었다. 셋째, 가족 및 내담자에게 미치는 치료 효과는 ‘가족의 변화’, ‘내담자의 변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울증 내담자에 대한 가족치료의 구조적 흐름과 개입 전략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가족 요인을 고려한 상담 실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domestic case studies on family therapy for clients with depression, focusing on the onset factors of depression,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therapeutic outcomes. Methods: Thirteen Korean family therapy case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a-analysis procedures.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recurring patterns and structural themes were identified to provide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family therapy.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major categories of onset factors: (1) intrapers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2) family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 patterns, and (3) external environmental stressors.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organized into three phases: (1) establish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reparing for intervention, (2) addressing problems and facilitating change, and (3) maintaining change and preparing for termination. The therapeutic outcomes were observed at two levels: systemic changes within the family, such as improved communication, boundary restructuring, and role readjustment; and individual changes in clients, including symptom reduction, cognitive restructuring, emotional independence, and personal growth.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amily therapy functions not merely as a supplementary approach but as a central and effective intervention for depression. By demonstrating structured pathways of systemic and individual change,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family dynamics into clinical practice and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interven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가족상담사발달 평가척도(KFC-DA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성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부모 소진의 관계: 인지적 재평가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 자녀를 학대하는 내담자의 가족 역동에 대한 다사례연구
- 정서중심 부부치료 관점에서 본 드라마『폭싹 속았수다』의 부부관계: 양관식-오애순, 부상길-박영란 부부 중심으로
- 해결중심상담 2.0 갤러리 모델의 가족상담 적용: 초기 회기 효과를 탐색한 파일럿 연구
-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순차매개효과
- 가족상담사의 정체성 위기와 회복의 여정: 기혼 여성 가족상담사의 내러티브 탐구
-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상담사 핵심역량척도(K-FCCC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