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Between Negative Opposite-Sex Parent Object Relations and Marital Conflict in Newlywed Couples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최주예 박정윤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353~37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 목적은 신혼기 부부의 결혼생활 질을 증진시키고 부부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적 개입과 교육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자녀가 없는 결혼 7년 이하의 기혼남녀 471명이며, SPSS 26.0과 MACRO version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결혼기간, 연령, 종교, 맞벌이로 밝혀졌고, 결혼기간이 부부갈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가 높을수록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인지적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느낄수록 부부갈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은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우자와 성별이 같은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대상관계이론을 바탕으로 부부갈등의 이해를 확장하였다. 또한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서조절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여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 relation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marital conflict among newlywed coup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71 childless individuals married for seven years or less.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Results: Marital duration, age, religious affiliation, and dual-income statu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marital conflict, with marital duration having the greatest impact.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negative object relations with the opposite-sex parent and lower level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eater marital conflic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object relations and marital conflict.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negative object relations with the opposite-sex parent who shares the same gender as the spouse. Findings extend the study of marital conflict from an object relations perspective and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apply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to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주예,박정윤. (2025).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3 (3), 353-373

MLA

최주예,박정윤.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3.3(2025): 353-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