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pistemological Foundations and Key Strategies of Postmodern Counsel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solution-focused and narrative approache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이선혜 어주경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3호, 323~3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철학적 배경, 주요 개념, 상담 기법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상담치료 현장에서 이들 접근의 확산과 심화 적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상담 모델의 핵심 이론서와 주요 저자들의 저술, 상담 사례 기술 및 관련 2차 문헌 등 질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암시성, 형상화(시각화), 재해석, 예외(독특한결과), 담론과 실천윤리, 정서의 여섯 가지 영역에서 두 모델의 원리와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가 포스트모던 상담자 훈련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여기에는 ‘질문하는 행위’ 개념의 해체, 상담 여정의 시공간 맥락 속에서 다양한 기법의 화학적 융합, ‘정서다루기’와 ‘공감’ 개념의 재구성, 전문가 입장에서 알지못함ㆍ탈중심 입장으로의 이행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던 상담에 관한 경험연구의 축적, 상담자의 실천내러티브 확산, 문화로서의 상담활동에 대한 성찰 필요성을 적시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key concepts, and counseling techniques of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SFBT) and Narrative Therapy, and to propose strategies to promote their broader adoption and deeper application in the domestic counseling field.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qualitative sources such as core theoretical texts, writings by major authors, counseling case descriptions, and relevant secondary literature. Results: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two model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cross six domains: suggestiveness, visualization, reframing, exceptions (unique outcomes), social discourse and ethics of practice, and emotion. The study then discussed implications for postmodern counselor training, including deconstruction of the act of questioning, contextual and integrative uses of various techniques within the spatiotemporal journey of counseling, reconstruction of ways to address emotion and empathy, and transition from expert-centered to not-knowing and decentered positions. Conclusion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accumulate experiential research on postmodern counseling, disseminate practice stories, and reflect on counseling as a culturally embedded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범위
Ⅲ. 포스트모던 상담의 지형과 주요 특징
Ⅳ.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가족상담사발달 평가척도(KFC-DA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성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부모 소진의 관계: 인지적 재평가와 자기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포스트모던상담의 인식론적 기반과 주요 전략: 해결중심상담과 내러티브상담의 비교 분석
- 이성부모와의 부정적 대상관계와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혼기 남녀를 대상으로
- 자녀를 학대하는 내담자의 가족 역동에 대한 다사례연구
- 정서중심 부부치료 관점에서 본 드라마『폭싹 속았수다』의 부부관계: 양관식-오애순, 부상길-박영란 부부 중심으로
- 해결중심상담 2.0 갤러리 모델의 가족상담 적용: 초기 회기 효과를 탐색한 파일럿 연구
- 중년 여성의 분리개별화와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자기애적 취약성이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순차매개효과
- 가족상담사의 정체성 위기와 회복의 여정: 기혼 여성 가족상담사의 내러티브 탐구
- 우울증 내담자의 가족치료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
- 한국 가족문제 유형의 분류체계화를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 관계적 개념화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을 활용한 상호작용가족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자녀를 둔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상담사 핵심역량척도(K-FCCC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썸’ 관계와 연인 관계에서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돌봄제공 행동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