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늘봄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학습형 늘봄프로그램 재능기부 챌린지’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모델을 활용한 난화그리기를 중심으로 -
이용수 63
- 영문명
-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Type Nuelbom Program Talent Donation Challenge’ for the Establishment of Nuelbom School - Focusing on the drawing using the psychocybernetic (PMAT) model -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신민주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2호, 265~2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늘봄학교‘학습형 늘봄프로그램 재능기부 챌린지’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해 늘봄학교 참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심리와 정서 지원은 물론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지원체계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4년 7월 24일 Y초등학교 늘봄교실 프로그램 참여 1학년 16명을 대상으로 45분간 진행한‘미술아! 놀자! 그림으로 표현하는내 마음’이란 주제로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미술치료 모델을 활용한 난화그리기를 활용하여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경험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단계에서는 친구들과 난화를 그리고 이야기를 나누면서‘긴장완화’를 경험하였고 2단계 자유로운 미술작업에서는‘내면의 감정표현’ 을 하게 하였으며, 3단계 표현된 이미지를 찾으면서‘숨겨진 내 마음 표현’과 4단계 종결 및 통합의 단계에서는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면서‘서로에 대한 이해’를 경험하게 되었다. 본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늘봄학교에서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해 아이들에게 정서와 심리적 안정감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또래들과의 관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등의 확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pport system and direction of an art therapy program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Neulbom School ‘Learning-type Neulbom Program Talent Donation Challenge’ program as well as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Neulbom School ‘Learning-type Neulbom Program Talent Donation Challenge’ program.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ases experienced while conducting an art therapy program using a psychocybernetic (PMAT) art therapy model with the theme of ‘Art! Let’s play! Expressing my heart through drawings’ for 45 minutes for 16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Neulbom Classroom program at Y Elementary School on July 24, 2024.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first stage, they experienced ‘tension relief’ while drawing and talking with friends, and in the second stage, free art work, they experienced ‘expressing their inner emotions’, and in the third stage, finding the expressed image, they experienced ‘expressing their hidden hearts’, and in the fourth stage, the stage of conclusion and integration, they experienced ‘understanding each other’ while talking with friend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case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vision of diverse programs that can help children achie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s well as form relationships with peer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art therapy programs at Neulbom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과 재구조화 연구 : 예술 중심 통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연계전공 신설에 관한 연구
- 우선돌봄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늘봄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학습형 늘봄프로그램 재능기부 챌린지’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모델을 활용한 난화그리기를 중심으로 -
- 중국 혁신창업교육 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 교육정책 확산과 집행의 맥락적 이해: 정책 도입과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증거 기반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생성형 AI 기반 수업설계 연구의 국내외 동향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와 진로 및 학습관리 태도의 관계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EU 인공지능법에 따른 AI 교과서의 조건
- 대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