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와 진로 및 학습관리 태도의 관계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5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Linked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Career and Learning Management Attitudes: Focusing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김범준 박창언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2호, 247~2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와 진로관리(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 설계) 및 학습관리(학습계획, 학습태도) 태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A고등학교 2학년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 였다. 측정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7)의 일반고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지표 조사지를 교육학 전공 교수 2인 및 박사과정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SPSS 26.0을 활용해 기술통 계,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가 높은 집단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만족도는 학습태도와 진로설계에서 특히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질적 분석에서도 발명교육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과 진로개발역량 강화에 기여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연계 발명교육이 학생들의 진로및 학습관리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교육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ith career-linked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career management (career awareness, career exploration, career design) and learning management (learning planning, learning attitud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9 second-year students at High School A in Gyeongsangnam-do,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some of the students. The measurement tool was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dex Questionnaire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17),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review by two professors in education and two doctoral candidates. Using SPSS 26.0,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satisfaction in career-linked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all subdomains (p<.001), with satisfaction showing particularly strong influence on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planning. Qualitative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invention education contributed to enhancing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strengthen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er-linked invention education can serve as a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that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career and learning management attitu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과 재구조화 연구 : 예술 중심 통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연계전공 신설에 관한 연구
- 우선돌봄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늘봄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학습형 늘봄프로그램 재능기부 챌린지’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모델을 활용한 난화그리기를 중심으로 -
- 중국 혁신창업교육 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 교육정책 확산과 집행의 맥락적 이해: 정책 도입과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증거 기반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생성형 AI 기반 수업설계 연구의 국내외 동향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와 진로 및 학습관리 태도의 관계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EU 인공지능법에 따른 AI 교과서의 조건
- 대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