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거 기반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이용수 46
- 영문명
- A Critical Discussion on Evidence-Ba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전호재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2호, 137~1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에서 증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쟁점을 탐구하였다. 국가 교육과정은 한 국가의 교육적 가치와 방향성을 담는 핵심 문서로,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 과학적, 체계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첫째, 증거 기반 정책 및 의사결정의 개념과 필요성을 분석하고, 둘째, 현재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절차와 의사결정 구조를 살펴보며, 셋째, 향후 증거 기반 국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해결해야 할 세 가지 핵심 쟁점 (1) 의사결정을 위한 증거의 부족, (2) 증거의 구체성과 신뢰성 결여, (3) 제한된 참여와 형식적인 숙의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특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가능성, NEIS 시스템의 데이터 신뢰성 한계, 형식적 참여 구조의 문제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실질적인 증거 수집 체계와 숙의 구조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발이 보다 합리적이고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key issues necessary to implement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a. The national curriculum serves as a foundational document that reflects a country’s educational values and direction, requiring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in policy decision-making.
First,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necessity of evidence-based policy and decision-making. Second, it reviews the current procedures and decision-making structure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in Korea. Third, it identifies three major challenges to establish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in curriculum development: (1) lack of sufficient evidence for decision-making, (2) insufficient specificity and reliability of existing evidence, and (3) limited stakeholder participation and superficial deliberation processes. The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current data collection systems such as NEIS, the underutilization of technologies like big data and AI, and the formal nature of participatory mechanisms. It emphasizes the need for a more robust evidence collection framework and a deliberative structure to ensure rational and democratic curriculum development. This research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dvancing evidence-based practices in national curriculum reform.
                    목차
Ⅰ. 서론
	                       
	                          Ⅱ. 증거 기반 정책과 증거 기반 의사결정
	                       
	                          Ⅲ.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의사결정 과정
	                       
	                          Ⅳ. 증거 기반 정책으로 국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쟁점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과 재구조화 연구 : 예술 중심 통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연계전공 신설에 관한 연구
- 우선돌봄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늘봄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학습형 늘봄프로그램 재능기부 챌린지’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모델을 활용한 난화그리기를 중심으로 -
- 중국 혁신창업교육 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 교육정책 확산과 집행의 맥락적 이해: 정책 도입과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증거 기반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생성형 AI 기반 수업설계 연구의 국내외 동향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와 진로 및 학습관리 태도의 관계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EU 인공지능법에 따른 AI 교과서의 조건
- 대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