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정책 확산과 집행의 맥락적 이해: 정책 도입과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74
-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Contextual Dynamics of Education Policy Implementation: A Focus on Policy Adoption and Change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김경원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2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정책은 각 국가의 교육 거버넌스, 문화, 이해당사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복합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각 국가 간 유사한 교육 정책이 도입되더라도 각국의 고유한 교육 맥락에 따라 정책의 방향과 강도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르게 전개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연구는 2002년 미국에서 시행된 No Child Left Behind(NCLB)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 확산된 시험 기반 책무성 정책에 주목하였다. 시험 기반 책무성 정책의 경우 한국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들이 2000년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했으나, 20여 년이 흐른 현재 각국의 시험 기반 책무성 정책은 초기와 달리 수정되거나 폐지되는 등의 정책적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각 국가의 교육 거버넌스 구조, 교사 및 교육에 대한 문화, 주요 이해당사자의 수용과 반발 등의 맥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교육적 맥락을 지닌 국가들을 선정하여 시험 기반 책무성 정책이 각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화해 왔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정책 연구에서 정책의 복잡 성과 맥락적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est-based accountability policies have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in three countries: Australia, Spain, and Japan.
The global diffusion of test-based accountability has largely been influenced by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2002) in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s such as PISA, and neoliberal education reform movements worldwide. In response, numerous countries have adopted similar forms of test-based accountability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and hold teachers and schools accountable for student performance. Although nearly 25 years have passed since these three countries began implementing test-based accountability policies, the current intensity and structure of these policies differ significantly. These differences have been largely affected by variations in governance structures, stakeholder resistance or acceptance, and educational culture, particularly whether teachers’ professionalism is valued in society.
Based on these differences, I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se contextual factors is essential for both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for explaining why such policies manifest differently across countries.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시험 기반 책무성의 도입과 변화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과 재구조화 연구 : 예술 중심 통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연계전공 신설에 관한 연구
- 우선돌봄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늘봄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학습형 늘봄프로그램 재능기부 챌린지’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모델을 활용한 난화그리기를 중심으로 -
- 중국 혁신창업교육 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 교육정책 확산과 집행의 맥락적 이해: 정책 도입과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증거 기반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생성형 AI 기반 수업설계 연구의 국내외 동향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 진로연계 발명교육 경험 만족도와 진로 및 학습관리 태도의 관계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EU 인공지능법에 따른 AI 교과서의 조건
- 대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