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54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Case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Shandong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이효휘 구반반 부무욱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부산대학교와 중국의 산동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구조, 목표, 내용, 교수 방법 및 사회적·제도적 맥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 중어중문학 교육의 구조적 특성과 교육적 지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교육학의 분석 틀과 Tyler(1949)의 교육과정 구성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산대학교는 실용성과 직무 연계성에 기반한 단선형 교육과정을 통해 실무형 인재를 육성하고 있으며, 산동대학교는 학문성과 전통 계승을 강조한 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해 연구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양 대학의 교육과정은 각각 자국의 고등교육 정책, 사회문화적 요구, 학문 전통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고 있으며, 중어중문학 교육이 단순한 언어·문학 교육을 넘어 국가 전략과 문화 정체성을 실현 하는 제도적 메커니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 양국 대학은 실용성과 이론성의 상호 보완을 통해 교육과정의 균형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도모할 수 있으며, 향후 공동교육과정 운영, 교차 교류 확대, 교육내용의 통합적 재구성 등이 교육 혁신의 방향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rogram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Shandong University in China.Focusing on the curriculum structur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 instructional methods, and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the research aims to elucid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rientations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o this end, the study adopts a comparative education framework and draws on Tyler's (1949)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t employs an integrat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case study and documentary analysis.The findings reveal that Pusan National University implements a linear, practice-oriented curriculum designed to cultivate field-ready professionals, emphasizing practical utility and alignment with vocational competencies. In contrast, Shandong University adopts a modular curriculum that prioritizes academic rigor an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iming to nurture research-oriented scholars. Furthermore, the curricular designs of both institutions are shown to be significantly shaped by their respective national higher education policies,sociocultural demands, and academic traditions.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functions not merely as a vehicle for language and literary training, but as an institutional mechanism that embodies national strategies and cultural identity formation.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in both countries may enhance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ir curricula by integrat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dimensions. Prospective directions for educational innovation include the implementation of joint curricula, the expansion of cross-border academic exchange,and the integrative reconfiguration of educational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안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휘,구반반,부무욱. (2025).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 (2), 1-19

MLA

이효휘,구반반,부무욱. "한국과 중국의 중어중문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부산대학교와 산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2(2025):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