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이용수  50

영문명
Rethinking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Educational ODA: A Structural Analysis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이채영 김영환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2호, 225~2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교육 ODA 지속가능성을 위한 구조적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iMaggio와 Powell(1983)이 제시한 동형화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 틀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OECD DAC의 평가 기준을 수용 함으로써 강제적 동형화가 나타났고, 둘째, 한국 교육모델이 무 비판적으로 벤치마킹 사례로 인식되면서 모방적 동형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이러한 구조는 전문가 중심의 설계를 통해 규범적 동형화로 고착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구조적 요인들은 실질적 지속가능성보다 형식적 정합성에 집중하게 할 위험을 내포하며, 시장주의적 교육의 전이를 통해 수원국의 장기적 교육 성장을 제약할 수있고, 현장의 실천 주체들을 배제하는 구조를 고착화시켜, 결과적으로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을 제약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교육 ODA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다음 세 가지 구조적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국제 기준 수용 방식에 대한 비판적 재조정을 통해 맥락 기반의 평가 체계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 교육모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전제하여, 수원국 맥락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ODA 설계 구조의 개방성과 참여성 확보가 사업 기획 단계서부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factors that constrain the sustainability of Korea's educational ODA and discusses structural directions for enhancing its sustainability. Using DiMaggio and Powell's (1983) institutional isomorphism theory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study finds that pressures from the OECD DAC evaluation criteria led to coercive isomorphism, while the uncritical adoption of the Korean education model resulted in mimetic isomorphism. Additionally, the structure has become entrenched through normative isomorphism, driven by expert-led design. These structural factors risk prioritizing formal compliance over substantial sustainability, potentially hindering long-term educational growth in recipient countries through the transfer of market-driven educational models. Moreover, they perpetuate a system that excludes local practitioners, thereby limiting the sustainability of Korea’s educational ODA.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recommends: 1) critically reviewing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to develop context-sensitive evaluation systems; 2) applying Korea’s education model with reflective scrutiny to ensure contextual relevance in recipient countries; and 3) embedding openness and stakeholder participation into the design phase of education ODA pro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ODA 한국 교육 의 도입 및 확산 과정
Ⅴ. ODA 교육 동형화 메커니즘
Ⅵ.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영,김영환. (2025).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 (2), 225-246

MLA

이채영,김영환. "한국 교육 ODA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제도적 동형화 분석."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2(2025): 225-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