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인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Social Anxiety: Focusing on Korean Academic Journal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안성호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8권 제1호, 71~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 현장에서 많은 내담자가 대인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대인불안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의 분석함으로써, 대인불안의 개념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국내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대인불안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KCI에 등재된 59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행연도별, 대상별, 측정도구별, 연구 방법 및 연구주제에 따른 통계분석별, 변인별 현황을 분석하고 동향을 확인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불안 관련 연구는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소수에 불과했으나, 2005년 이후 논문의 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으로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9.41%로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58%로 가장 적었다. 셋째, 측정도구별 분석에서는 Leary(1983)의 대인관계 불안척도(IAS)가 42.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대부분은 김남재(1995)가 번안한 척도를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연구 방법 및 연구주제에 따른 통계분석별 현황에서는 양적연구가 76.27%로 가장 많았고, 양적•질적연구가 22.03%, 질적연구는 1.69%으로 나타났다. 양적연구는 모두 변인 간 관계를 다룬 연구였으며, 이 중 회귀분석계열 논문이 44.83%로 가장 많았다. 양적•질적연구는 모두 실험•프로그램 연구였으며, 변량분석계열 논문이 20.69%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질적연구는 기타 연구주제에 해당하였다. 다섯째, 변인별 분석에서는 대인불안이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72.98%로 가장 많았으며, 독립변인 16.66%, 매개변인 8.62%, 조절변인 1.7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하여 대인불안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연구의 방항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 wa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which is frequently experienced by many clients in counseling settings. By doing s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anxiety can be deepened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can b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flow of domestic studies on the topic. Methods: Fifty-nine papers listed in the KCI (Korea Citation Index) were selected, and the study trends were examined by analyzing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s, measurement tools, research methods, types of statistical analysis by research topic, and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was limited from 1999 to 2004, but the number of publications gradually increased after 2005. Secon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studies involving university (including graduate) stude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t 39.41%, while studies on preschool children were the least common at 1.58%. Third, regarding measurement tools, Leary’s (1983) Interpersonal Anxiety Scale (IA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t 42.24%, with most studies utilizing the version translated by Kim Nam-jae (1995). Fourth, regarding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es by research topic, quant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at 76.27%, followed by mixed-method studies at 22.03%, and qualitative studies at 1.69%. All quantitative studies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ith the regression analysis being the most used method at 44.83%. All mixed-method studies were experimental or program-based, with ANOVA-based analyses accounting for the majority at 20.69%. The qualitative studies fell under miscellaneous research topics. Fifth, in terms of variable usage, interpersonal anxiety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t 72.98%, followed by independent variables at 16.66%, mediating variables at 8.62%, and moderating variables at 1.72%.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ey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interpersonal anxiet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상담학연구」와「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신체화 연구 동향: 국내 주요 학술지 중심으로
- 자기개념 명확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사회비교 경향성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완벽주의와 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자기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연구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대인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 장애정체감에 대한 연구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남성 성역할 갈등에 관한 연구동향 :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자기노출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에 대한 연구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