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uma Art Therapy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구지영 김태은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839~86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1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떻게 회복되어 가는지에 대해 종합적인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과 관련한 국내외 학술지 19편을 선정하였으며, Noblit과 Hare(1988)가 제시하고 나장함(2008)이 활용한 분석 과정인 6단계를 적용하여 단계적으로 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은 5개의 종합적 주제와 20개의 기술적 주제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내 안의 그림자, 트라우마’, ‘안전한 표출구와 품, 치유의 공간’, ‘내 삶의 일기, 자서전적 기억’, ‘내면에서 발견한 힘, 주체성’, ‘다시 마주한 세상의 빛, 재연결’이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는 트라우마로 인해 손상된 부분을 통합적이고 창조적인 방식으로 복구하여 생리적 증상 완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및 심리적 회복을 도울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더불어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데 미술치료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드러나 Herman(1997/2012)이 제시한 트라우마 치유와 회복을 위한 3단계 접근법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rauma art therapy experiences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how individuals experiencing trauma engaged with art therapy and progress toward recovery. For the meta-analysis, 19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trauma art therapy were selected. The six-step analysis process proposed by Noblit and Hare(1988) and adapted by Na Jang-ham(2008) was applied to synthesize and analyze the studies systematically.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overarching themes and 20 descriptive subthemes encapsulating trauma art therapy experiences. The specific contents were ‘The shadow within me, trauma,’ ‘A safe outlet and embrace, the healing space,’ ‘The diary of my life, autobiographical memory,’ ‘The inner strength unearthed, subjectivity,’ and ‘The light of the world faced again, reconne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rt therapy facilitated not only the integrative and creative recovery of trauma-induced damages but als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ing. The therapy's role in promoting post-traumatic growth aligned with Herman’s (1997/2012) three-stage approach to trauma healing and recove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지영,김태은. (2025).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미술치료연구, 32 (4), 839-865

MLA

구지영,김태은.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미술치료연구, 32.4(2025): 839-8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