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상담학연구」와「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igma in Korea: Focused on the Journal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and,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서 은 현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8권 제1호, 18~33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상담학계에서 이루어진 낙인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흐름과 동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KCI에 등재된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논문 2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행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발행 논문 수는 2021년에 4편으로 가장 많이 발행되었다. 둘째, 연구주제별로는 상담 및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내담자 및 일반인들의 지각/태도 연구가 13편(59.09%)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연령 기준으로 성인이 12편(52.17%), 소수자 정체성과 상담관계와 직업적 환경에서의 역할을 기준으로 해당 없음이 각각 11편(47.83%), 16편(69.57%)으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로는 양적 연구가 17편(77.27%)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igma re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in South Korea and identify its trends and patterns. Methods: Twenty-two studies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 (KCI)-listed counseling journal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sample and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topic, study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year was the highest at four in 2021. Second, regarding research topic, studies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clients and the general public toward counsel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were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13 studies (59.09%). Third, regarding study subjects, adults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group based on age (12 studies, 52.17%). In terms of minority identity, counseling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 environments, the “not applicable” category appeared most frequently, with 11 studies (47.83%) and 16 studies (69.57%), respectively. Fourth,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ly employed methodology, appearing in 17 studies (77.27%).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상담학연구」와「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신체화 연구 동향: 국내 주요 학술지 중심으로
- 자기개념 명확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사회비교 경향성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완벽주의와 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자기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연구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대인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 장애정체감에 대한 연구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남성 성역할 갈등에 관한 연구동향 :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자기노출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에 대한 연구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