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Evidence-Based Case Conceptualization in Art Therapy: A Scoping Review Stud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황세진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819~8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1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거기반 사례개념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미술치료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하며,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Arksey와 O’Malley(2005)가 제시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기반으로, Levac, Coloquhoun과 O’Brien(2010)의 확장된 가이드라인을 반영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증거기반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를 구조화하고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며,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개입 전략을 체계화하는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술치료에서 이를 적용하면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으며, 치료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술치료에서 증거기반 사례개념화를 적용하기 위한 세 가지 개입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정량적 연구를 강화하고 미술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증거기반 개념을 적용한다. 둘째, 증거기반 실천을 미술치료에 반영하여 치료 프로토콜과 표준화된 임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한다. 셋째, 신경과학적 연구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과학적 근거를 보다 정교하게 구축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증거기반 사례개념화를 적용하는 것이 치료의 체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과, 향후 실증 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임상 적용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fine evidence-based case conceptualization (EBCC),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art therapy, and deriv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following Arksey and O’Malley’s (2005) framework, incorporating extended guidelines by Levac, Colquhoun, and O’Brien (2010). Findings indicated that EBCC provided a structured process for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oblems, developing individualized treatment plans, and systematizing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pplying EBCC to art therapy enabled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reatment outcomes, enhanced therapeutic coherence, and improved clinical reliability. The study identified three key strategies for integrating EBCC into art therapy: (1) strengthening quantitative research to validate therapeutic outcomes; (2) developing standardized clinical guidelines through evidence-based practice; and (3) using neuroscience and digital technologies to more precisely measure treatment effects. These strategies supported a more rigorous and structured framework for art therap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EBCC to increase the scientific credibility of art therap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urther empirical research for clinical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세진. (2025).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미술치료연구, 32 (4), 819-837

MLA

황세진.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미술치료연구, 32.4(2025): 819-8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