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ague cooperation and digital literacy on technostres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142~16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직 유치원에서의 경력이 1년 이상인 공⋅사립 유치원 교사 229명이며,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12월 한 달간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 의 동료 협력과 디지털 리터러시는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과 디지털 리터러시는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 변인이며, 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테크노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음을 보여주며 동료 협력 체계를 지원하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함으로써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를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lleague collaboration and digital liter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stress. The study population was 229 public and private pre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service,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on colleague collaboration, digital literacy, and technostr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ague collabora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inversely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stress. This means that higher l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ague collaboration and digital literacy a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technostres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ague collaboration and digital literacy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and negative effects on technostress, meaning that higher l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ague collabora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technostress.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as a basic study to explore ways to reduce technostr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 the need for continuous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echnostr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드아트 기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평가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공립 단설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AI 활용 경험에 따른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영유아 부모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육에서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탐구: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에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