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탐구: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에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educational content for leum education: A relational-neoepistemolog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윤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190~215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계적-신지식론 관점에서 이음교육을 위한 유보초등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힘있는 지식, ANT의 행위자 네트워크, 신물질주의를 중심으로 관계적-신지식론적 분석 틀을 설정하였고,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으로 본 교육내용에서는 유사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내재된 지식의 보편성과 개념화를 지향하는 정도와 행위자들 간의 관계망의 구성, 감각과 물질-사건을 통해 지식이 의미화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표준보육과정에서 는 감각 기반의 즉흥적 탐색과 관계적 경험을 통해 지식의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누리과정은 일상적 이해를 구조화하여 개념화 가능성을 높이고, 초등교육과정은 생태적, 사회적 맥락에서 지식을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해 단순한 내용 연계나 주제의 반복을 넘어, 지식의 성격, 관계적 구조, 물질-사건적 배움까지 포괄하는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care, and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each stage through a Relational-Neoepistemological perspective.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framework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cepts of Powerful Knowledge, Actor-Network Theory (ANT), and Posthumanist New Materialism. This framework was applied to compare the educational content found in the 2024 revise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he three curricula address similar thematic areas, they differ in how knowledge is structured, how relational networks among human and non-human actors are configured, and how meaning is constructed through sensory, material, and event-based processes.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highlights relational and exploratory experiences grounded in sensory engagement; the Nuri Curriculum emphasizes structured understanding tied to daily life;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expands knowledge toward ecological and social reconstru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ffective Leum Education must go beyond topic alignment to include curriculum design that reflects the nature of knowledge, the structure of relational interconnections, and material-event-based learning proce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드아트 기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평가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공립 단설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AI 활용 경험에 따른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영유아 부모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육에서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탐구: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에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