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ntangled art education experience with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희은 백지혜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92~118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유아미술교육 수업에서 다양한 물질과의 관계 속에서 교육적 사고의 확장과 교사로 ‘되어가는(becoming)’ 과정을 어떠한 실천적 경험으로 형성해 가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산시 소재 D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4학년 재학생 19명을 대상으로 유아미술교육 수업 의 일환으로 ‘물질과의 사유하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테이프, 풀, 종이, 자연물, 휴지 등 유아교육 현장에서 흔히 접하는 물질을 만나 새롭게 탐색하고, 얽히는 과정에서 형성된 감정과 생각을 저널, 발표자료, 수업 중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및 비형식적 면담을 통해 공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절차를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테이프와의 만남에서 ‘연결’에서 ‘경계’로의 인식 전환을 경험하고, 계획되지 않은 생성의 흐름에 자신을 내맡기는 과정을 통해 교사 개입의 방식을 성찰하게 되었다. 풀은 느림과 흔적의 감각을 통해 기다림과 관계 맺기의 시간을 체화하게 하였으며, 종이는 찢기고 구겨지는 파열의 경험을 통해 내면의 기억을 환기하고 창작 과정의 재구성을 탐색하게 하였다. 자연물은 익숙하지 않은 감각을 통해 낯선 것과 관계 맺는 교사의 태도를 형성하게 하였으며, 휴지는 사라지는 존재에 대한 사유와 더불어 규범과 역할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내며 해체와 수용의 감각을 일깨웠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미 술교육이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물질을 매개로 하는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사고와 태도가 유연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유아의 다양한 감각적 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교사 양성의 실제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explor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med practical experiences that expanded their educational thinking and supported their becoming as teachers through relationships with various materials during a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ourse. The participants were 19 fourth-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D University in Gyeongsan. As part of the course, they engaged in an activity called “Thinking with Materials,” where they encountered commonly used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such as tape, glue, paper, natural objects, and tissue. Through exploration and entanglement with these materials, participants shared their emotions and thoughts via journals, presentations, photos taken during clas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and informal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The results showed that tape led participants to shift their perception from ‘connection’ to ‘boundary’ and reflect on the modes of teacher intervention through the flow of unplanned creation. Glue embodied the sensation of slowness and traces, allowing them to internalize the time of waiting and relational engagement. Paper evoked inner memories through experiences of rupture and crumpling, leading to the reconstruction of creative processes. Natural materials nurtured attitudes of building relationships with unfamiliar elements, and tissue brought about reflections on vanishing presence and discomfort with social norms, evoking a sense of deconstruction and accept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an move beyond technical skill acquisition to become a space for flexible thinking and attitudes in teacher development through material-mediated experie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a practical direction for teacher education that embraces the diverse sensory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은,백지혜. (2025).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연구, 27 (2), 92-118

MLA

김희은,백지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연구, 27.2(2025): 92-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