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children's and teachers' learning entangled with new materialistic teaching media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수연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33~6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다어린이집 만 3세 물개반과 만 2세 거북이반을 비/참여관찰하고, 원장과 교사를 인트라뷰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현상, 흐르는 분위기 그리고 배움이다. 순간적으로 발현된 현상이라는 교수매체와 배치가 생성한 흐르는 분위기라는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는 얽힘의 순간의 존재를 배움으로 드러내고 있었 다. 둘째, 시간, 공간 그리고 배움이다. 기억과 경험을 머금은 시간이라는 교수매체와 애매하고 비밀스러운 공간이라는 교수매체는 영유아와 교사와 얽혀 배움을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내부작용, 이기(되기), 장치 그리고 배움이다. 물질과 조응하는 내부작용,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이기(되기), 놀이의 실체를 생성하는 장치라는 교수매체의 생성은 교수매체 생성의 얽힘 과정이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의 의미와 배움의 방향성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패러다 임으로 영유아의 배움을 고찰하여, 이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교수매체를 바라보는 관점을 탐구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entangled with new materialistic teaching media. To this end, we conducte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of the 3-year-old seal class and the 2-year-old turtle class at the Sea Daycare Center, and conducted intra-interviews with the director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phenomenon, flowing atmosphere, and learning. Young children and teachers entangled with the teaching media of the phenomenon that appeared momentarily and the teaching media of the flowing atmosphere created by the arrangement revealed the existence of the moment of entanglement as learning. Second, time, space, and learning. The teaching media of time containing memories and experiences and the teaching media of ambiguous and secret space revealed learning by being entangled wi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ird, internal action, becoming, device, and learning. The creation of the teaching media of the internal action that corresponds to materials, becoming that can be anything, and the device that creates the substance of play revealed the entanglement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teaching media as learning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this, we can examine the meaning of new materialistic teaching media and the direction of learning, examine the learning of infants and toddlers as a new paradigm required by future society,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exploring perspectives on teaching media in future curriculum revis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연. (2025).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7 (2), 33-66

MLA

박수연.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7.2(2025): 3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