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AI 활용 경험에 따른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Based on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AI analysis of perceptions and needs of class execu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정효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AI 활용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수업과 AI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3~5세 유아교사 중 AI 활용하여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AI 활용 수업은 학습활동에 대한 도움 제공이 가장 높았다. 기관 유형은 AI 활용 역량은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조금 높았으나, AI 활용 수업 전문성 개발은 어린이집이 높게 나왔다. 경력별 AI 활용은 5년 미만의 유아교사가 높게 나왔다. 둘째, AI 활용 교육은 월 1회~2회가 가장 많았으며 경력별 AI 활용 수업 인식은 5년 미만이 높았으며, AI 활용 교육은 ‘활동자료 수집에 도움이 된다.’ 가장 높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AI 활용 교육의 요구는 AI가 교사의 수업 보조형으로, AI 활용 수업의 정착을 위해서는 AI 활용 수업 준비 시간의 확보, 학습자료 개발 및 보급이 가장 높게 나왔다. 본 연구는 AI 활용과 관련한 필요한 역량과 AI 활용을 하는 유아교사의 지원 방안 및 AI 활용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la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utilizing AI and their awareness and needs for AI-based classes.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215 teachers of 3-5 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who had experience in using AI for class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I-based classes were most often about providing assistance with learning activities. In terms of institution type, kindergartens were slightly higher than daycare centers in terms of AI utilization capacity, but daycare centers were more likely to develop AI-based class expertise. In terms of caree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utilize AI. Second, AI-based education was most often provided once or twice a month, and awareness of AI-based classes by career was high for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AI-based education was most often about ‘helping with collecting activity data.’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for AI-based education were that AI is a teaching assistant, and securing time to prepare AI-based classes and developing and distributing learning materials were the most common for establishing AI-based clas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necessary capabilities related to AI utilization, support measur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utilize AI, and activation of AI-utiliz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드아트 기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평가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공립 단설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AI 활용 경험에 따른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영유아 부모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육에서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탐구: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에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