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에서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Arts-Based Research (AB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현이 백지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162~18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증주의에 기반한 전통적 교육연구가 인간 경험의 복합성과 정서적, 심미적 차원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예술기반연구(ABR)가 유아교육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 실천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문헌 분석과 고찰을 통해 예술기반연구의 등장 배경과 학문적 정당성, 그리고 예술교육과의 개념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론에서는 시각예술 기반, 공연예술 기반, 문학적 기반, 시적 탐구, 디지털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예술적 접근 방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예술기반연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학문적 확장을 위한 과정 을 분석하고, 유아교육 분야에서 교사와 유아, 부모의 경험을 예술적 실천을 통해 해석하는 접근을 제안하였 다. 고찰 결과, 예술기반연구는 감정, 상징, 상호작용을 다감각적으로 포착함으로써 교사의 정체성과 실천을 성찰적으로 탐색하는 데 유의미한 방법론임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기반연구가 지닌 다중감각적 재현, 상징적 사고와 해석, 창작이 통합된 과정, 그리고 비판적 성찰을 지향하는 특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기반연구가 유아교육 현장의 정서적 깊이와 존재론적 이해를 확장하는 혁신적 연구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며, 향후 교육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positivist educational research in capturing the complexity, emotional depth, and aesthetic dimensions of human experience. It explores how Arts-Based Research (ABR) can b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emergence and academic legitimacy of ABR and its conceptual distinctions from arts education are examined. Various artistic approaches— visual arts, performance-based inquiry, literary and poetic inquiry, and digital storytelling—are systematically reviewed for their applicability. Case analyses illustrate how ABR expands academic inquiry and offers new interpretive pathways for understanding teachers’, young children’s, and parents’ experiences through artistic practi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ABR captures emotions, symbols, and interactions multisensorially and supports reflective exploration of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ABR’s focus on multisensory representation, integration of symbolic thinking, and critical reflection highlights its potential as an innovative methodology. This study concludes that ABR can deepen emotional and ontological understand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pen new direc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예술기반연구의 이론적 기반
Ⅲ. 예술기반연구와 유아교육의 만남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드아트 기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평가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공립 단설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AI 활용 경험에 따른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영유아 부모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육에서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탐구: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에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