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탐구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학과 신입생의 기초간호학 성적 및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Basic Nursing Course Performance and GPA According to Completion of High School Science Inquiry Subjects among First-Year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보건기초의학회
- 저자명
- 정효주 채민정
- 간행물 정보
-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제18권 제1호, 10~1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high school academic track and completion of science inquiry subj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irst-year nursing students. As the Korean high school curriculum has shifted toward the integration of humanities and sciences, there has been increasing diversity in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backgrounds. However, nursing remains a science-based discipline that requires substantial foundational knowledge in subjects such as chemistry and bi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first-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orea regarding their high school track (humanities or science), completion of Chemistry I/II and Biology I/II, basic nursing science course scores (anatomy and physiology), and Grade Point Average (GPA).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from the natural sciences track and those who had completed science inquiry subject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grades in anatomy, physiology, and GPA compared to their peers from the humanities track or those who had not taken these subjec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showing that prior science coursework contributes to better performance and smoother adaptation in health-related majors. Although the initial academic gap between tracks was pronounced, prior studies suggest that this difference may decrease with continued study and appropriate suppor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ssessing students’ prerequisite knowledge at admission and providing targeted academic interventions, such as remedial science courses and mentoring, for those with less science background. Nevertheless, the study has limitations, including its single-institution sample and reliance on self-reported data. Future research should extend to multi-site and longitudinal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the long-term effects of high school science preparation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nd clinical succes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고 찰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병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및 호혜성과 재직의도와의 관계
- 과학탐구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학과 신입생의 기초간호학 성적 및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중환자실 간호사의 압력 손상 예방 지식, 장애요인 및 예방 활동 간의 관계: 횡단적 조사연구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인공지능 기반 간호기술 수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소식먹방' 콘텐츠 특성과 수용자 반응 분석: 건강 담론과 미디어 소비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 위암세포주 AGS에 대한 봉독약침액의 독성효과 및 기전 연구
- Model-Specific Responses of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Creatinine in Rodent Renal Fibrosis Models
- 작업치료사의 성재활에 대한 인식, 중요도 및 지식 수준에 관한 단면적 연구
-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우울 및 일상생활활동 상관관계 분석 연구
- 암그루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 바닥과 의자에서 체간 동작 시 근활성도 및 몸통 각도 비교
-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이 물리치료과 학생의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40세 이상 성인에서 우울증상유병 및 주관적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1차년도 자료 활용
- 노인의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 물리적 환경이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Network Analysis of Saliva-Prostate Research Publications: A Bibliometric Study of Literature Trends and Research Patterns (2015- 2025)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및 호혜성과 재직의도와의 관계
- 과학탐구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학과 신입생의 기초간호학 성적 및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