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환자실 간호사의 압력 손상 예방 지식, 장애요인 및 예방 활동 간의 관계: 횡단적 조사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Relationships Among ICU Nurses’ Knowledge, Barriers, and Prevention Practices for Pressure Injury: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보건기초의학회
- 저자명
- 한지영 장명진 김준범 김기웅 양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제18권 제1호, 25~3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CU nurses’ knowledge, perceived barriers, and preventive practices related to pressure injur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37 ICU nurses from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Pressure Ulcer Knowledge Assessment Tool (PUKAT 2.0), the Pressure Injury Prevention Barriers (PIPB)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Nurses’ Adherence to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QARPPU).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knowledge score was 12.70±3.50 (out of 25), indicating a moderate level, with the lowest scores in risk assessment. The average perceived barriers score was 27.03±11.99 (out of 75), with staff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issues reported as major obstacles. Preventive practice scored relatively high at 73.04±8.06 (out of 90), especially in repositioning and pressure relief. Preventive pract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al/prioritization barriers (r=-0.18, p=0.032) and knowledge-related barriers (r=-0.35, p<0.001). However, knowledge and practic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r=-0.11, p=0.214). Multiple regression showed perceived barriers significantly predicted practice (β=-0.20, p=0.019), though with low explanatory power (Adj. R²=0.037). ICU nurses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preventive practices despite moderate knowledge. Barriers, particularly related to motivation, prioritization, and institutional factors, negatively impacted performance. Enhancing pressure injury prevention requires ongoing, practical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to reduce barriers and promote team-based care in ICU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고 찰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탐구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학과 신입생의 기초간호학 성적 및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인공지능 기반 간호기술 수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소식먹방' 콘텐츠 특성과 수용자 반응 분석: 건강 담론과 미디어 소비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 위암세포주 AGS에 대한 봉독약침액의 독성효과 및 기전 연구
- Model-Specific Responses of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Creatinine in Rodent Renal Fibrosis Models
- 작업치료사의 성재활에 대한 인식, 중요도 및 지식 수준에 관한 단면적 연구
- 암그루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 바닥과 의자에서 체간 동작 시 근활성도 및 몸통 각도 비교
-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이 물리치료과 학생의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40세 이상 성인에서 우울증상유병 및 주관적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1차년도 자료 활용
- 노인의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 물리적 환경이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중소병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및 호혜성과 재직의도와의 관계
- 중환자실 간호사의 압력 손상 예방 지식, 장애요인 및 예방 활동 간의 관계: 횡단적 조사연구
-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우울 및 일상생활활동 상관관계 분석 연구
- Network Analysis of Saliva-Prostate Research Publications: A Bibliometric Study of Literature Trends and Research Patterns (2015- 2025)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과학탐구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학과 신입생의 기초간호학 성적 및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인공지능 기반 간호기술 수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