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Family Health on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Need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이명숙(Myung-Sook Lee) 정지홍(Ji-Hong Ch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5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와 욕구충족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 472명을 대상으로 SPSS 26.0과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건강성도 긍정노후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가족건강성이 자원봉사활동동기와 긍정노후인식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욕구충족도는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가족건강성을 경유하여 긍정노후인식에 도달하는 경로를 조절하며, 욕구충족도의 수준에 따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변동이 나타났다. 욕구충족도가 높아질수록 긍정노후인식이 증가하였으나, 낮은 경우 자원봉사활동동기의 직접적인 효과가 더욱 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지원체계와 욕구충족도가 노인 복지 정책 설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며, 지역사회 기반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가족 단위의 지원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on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needs satisfaction.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472 senior volunteers and analyzed through SPSS 26.0 and PROCESS Macro v4.2 for frequencies, reliability,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y significantly improved family health, which, in turn, statistically contributed to a more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Family health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positive aging awareness. Notably, needs satisfaction moderated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heightened needs satisfaction increased positive aging awareness, while those with lower needs satisfaction experienced a stronger direct effect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on positive aging awareness.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strong family support mechanisms and effective needs satisfaction strategies into eldercare policy frameworks, advocating for community-level counseling,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creation of family-based support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에 대한 융합돌봄 제공자의 딜레마 경험 -융합돌봄서비스 중심으로-
-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령 장애인의 주거환경과 안전 인식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차별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